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soybean ${\beta}-conglycinin$ gene expression. -(I) Identification of a soybean embryo factor interacting with upstream region of soybean ${\beta}-conglycinin$ gene-

대두 ${\beta}-conglycinin$ 유전자 발현의 전사 조절에 관한 연구 -(I) 대두 ${\beta}-conglycinin$ 유전자의 upstream 영역에 결합하는 대두 배 인자의 동정-

  • Lee, Jeong-Yeo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 of Industrial Studies, Chung-Ang University) ;
  • Chung, Dong-Hy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 of Industrial Studies, Chung-Ang University) ;
  • Kim, Woo-Yeon (Department of Biotechnology, Chung-Ang University)
  • 이정연 (중앙대학교 산업대학 식품가공학과) ;
  • 정동효 (중앙대학교 산업대학 식품가공학과) ;
  • 김우연 (중앙대학교 산업대학 생물공학과)
  • Published : 1993.12.31

Abstract

Soybean nuclear extracts and S-100 were prepared to examine the soybean embryo factors which bind to the upstream region of soybean ${\beta}-conglycinin$ ${\alpha}'$ subunit gene. SEF3(soybean embryo factor 3), which is presumed to be a trans-acting factor for the expression of the gene, was detected in gel mobility shift assay using the DNA probe containing two AACCCA hexanucleotides. DNA probe containing CATGCAT or AACACA was used to find any other soybean embryo factor interacting with the upstream region of ${\beta}-Conglycinin$ ${\alpha}'$ subunit gen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common DNA binding protein detected both in nuclear extracts and S-100. The relative levels of SEF3 binding activity both in nuclear extracts and S-100 of maturing soybean seeds were determined. SEF3 activity of nuclear extracts was first detected around 20 days after pollination and significantly increased around 32 days after pollination.

대두 종자 저장 단백질의 일종인 ${\beta}-conglycinin$ ${\alpha}'$ subunit 유전자의 upstream 지역에 결합하여 전사 조절에 관여하리라 추정되는 대두 핵의 DNA 결합 단백질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두 핵 추출물과 S-100을 조제하였다. 염기서열이 AACCCA-27 bp-AACCCA인 합성 DNA를 pUC19에 클로닝한 플라스미드 pSE3를 EcoRI과 HindIII로 절단하여 절편을 분리하고 $^{32}P$ 로 표지하여 이를 gel mobility shift assay 탐침으로 이용한 결과, 대두 핵의 DNA 결합 단백질의 일종인 SEF3(soybean embryo factor 3)의 역가가 핵 추출물과 S-100에서 검출되었다. 각각 CATGCAT, AACACA 염기 서열을 가지는 DNA를 탐침으로 이용하여 SEF3 이외의 DNA 결합 단백질의 역가를 조사한 결과 대두 핵 추출물과 S-100에서 각기의 염기 서열에 결합하는 수 종의 DNA 결합 단백질이 확인되었으나 두 시료에서 공통된 양상을 보여주는 DNA 결합 단백질의 역가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대두 S-100의 경우에는 개화 후 32일 부근에 SEF3 역가가 검출되는 데에 비하여, 핵 추출물에는 20일 전후에 SEF3 역가가 나타나서 32일 부근에 역가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