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istical methods for evaluating the tracking phenomenon of blood pressure

혈압의 역학적 연구와 지속성(tracking)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

  • Suh, Il (Dept. of Preventive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Nam, Chung-Mo (Dept. of Preventive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Kang, Hyung-Gon (Dept. of Preventive Medicine, Yonsei University)
  • 서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남정모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강형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3.09.01

Abstract

This study introduced speical characteristics of an epidemiologic study on blood pressure and compared several statistical methods for evaluating the tracking phenomenon of blood pressure for Korean children. While correlation coefficients adjusted for measurement error are commonly used for the evaluation of tracking, it is hard to interpretate the results when correlation functions for lag-difference are not monotonous. McMahan defined a tracking as maintenance of relative rank over time and calculated tracking index usng growth curve model. The tracking index in McMahan's model is complicate to calculate, and it is hard to determine the degree of growth curve parameter. Blomqvist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 of change and the initial value. This concept could be extended for the evaluation of tracking. However, it is not so easy to interpretate the estimates in his model when those are non-positive.

이 연구는 혈압에 대한 역학적인 연구의 특성 및 중요성을 소개하고 우리나라 아동의 혈압에 지속성 현상이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지속송에 대한 통계적 분석방법으로서 상관분석, 성장곡선 모형을 이용한 McMahan의 방법, 그리고 Blomqvist가 제안한 방법등을 우리나라 일부지역에서 6년간 추적관찰된 아동혈압자료에 적용하여 그 결과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오차를 교정한 상관분석은 계산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추정된 상관계수 행렬이 시간의 차(lag-difference)에 따라 단조함수가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지속성에 대한 해석상의 어려움이 있다. McMahan 모형은 지속성을 역학적인 관점에서 타당성이 이다고 생각되는 상대 순위의 유지도란 개념으로 정의하고 또한 전체자료에 대한 공분산구조를 모형에 반영하여 요약된 지속성에 대한 지표를 계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계산이 복잡하고 성장곡선모수의 치수를 결정하는데 따른 어려움이 있다. Blomqvist 모형은 지속성을 초기 시점에서의 측정값과 전체 시계열자료에서의 변화율간의 선형적인 관계로부터 정의하고 이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평균으로서의 회귀에 대한 영향을 수학적으로 교정하였다는 장점이 있으나, 추정값이 양수가 아닌 경우 역학적인 관점에서의 해석상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