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echnique of Landslide Hazard Prediction Using Vegetation Interpretation of Aerial Photo

항공사진의 식생 판독에 의한 재해 예측 기법

  • 강인준 (부산대학교 토목공학과) ;
  • 곽재하 (부산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정재형 (부산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1993.06.01

Abstract

The vegetation such as grass, shrub, tree has been used to control the erosion and stabilize the slope for a long time. But the effects of vegetation on slope area is usually neglected in traditional stability analyses. There are many errors in slope analyses in thin soil mantles. Therefore the effects of vegetation is an important factor. But it is difficult and complex to represent the vegetation influence quantitatively in stability analysis. In this study, authors choose the landslide region at the Kum sung dong Kum-jung ku Pusan as a model area. Authors analyzed the degree of slope with the aerial photo interpretation and DTM data extracted from the topographic map, and the relationship of D.B.H. (diameter of breast height), height, and age of tree in field investigation data. Finally authors know the fact that landslide take place approximately 10 or 20 years later in arbitrary afforestable area where the degree of slope is 27. The prevention effect must be considered in the control of vegetation.

잔디, 관목, 나무 등의 식생은 사면의 침식양 조절 및 사면안정을 위해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나 전통적인 사면안정해석의 경우 사면에 있는 식생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얕은 토층에 숲이 형성되어 있을 때 그 해석에 있어 많은 오차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사면안정해석에 식생의 영향은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그러나, 여러 식생이 사면안정에 미치는 영향은 사면안정의 해석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나 그 영향을 안정해석에서 양적으로 나타내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고 복잡하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직할시 금정구 금성동에서 발생된 산사태지역을 모델지역으로 선정하여 항공사진 판독과 지형도에서 추출한 DTM 데이타를 이용하여 경사도를 분석하고 현장조사를 통하여 식생의 흉고직경-수령, 수고-수령의 관계를 조사비교한 결과 경사도가 약 $27^\circ$인 지역에서 인위적 식재를 하였을경우 약 20년 후 산사태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으며 식목과 그 관리에 있어 방재효과를 고려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