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trification of the Soil Applied Urea for Winter Barley as Basal Dressing and Following Nitrate Release to the Environment

추파대맥(秋播大麥) 재배시 기비(基肥)로 시용(施用)한 요소(尿素)의 질산화(窒酸化)및 그에 따른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의 환경(環境)에의 방출(放出)

  • Kim, Sok-Dong (Crop Experiment Station, RDA) ;
  • Soh, Chang-Ho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won, Yong-Woong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im, Ung-Kyu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석동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
  • 소창호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권용웅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임웅규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Published : 1993.08.30

Abstract

The use of fertilizer N is essential for maximum economic yield of crops. Meanwhile, enrichment of $NO_3^-$in the environment has to be avoided. Winter barley crop has a short duration of growth before winter, but is used to receive N greater than 60 kg/ha at seed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quantitative aspect of the fate of soil applied urea N among the residual, leached, and uptaken by winter barley (cv. Olbori),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soil temperature on nitrification. Four levels of urea (0, 40, 80, and 120 kg N/ha) was basal-dressed to Olbori. $NH_4^+$ appeared dominant in the soil until 40 days after seeding, whereas $NO_3^-$ did thereafter. Nitrification rate at $5^{\circ}C$ of soil temperature was 40 to 50% of that at $15^{\circ}C. Linear increases in the number of ammonia oxidizing and nitrite oxidizing bacteria of the soil was present as the level of urea fertilization was higher. Less than 60% of N applied at seeding was uptaken by winter barley until mid-March but 50% was lost from death of older barley leaves during overwintering. Thereby only 10% of the applied N remained in the barley in spring. Only 15% of the applied N was present in the rhizosphere. The 17 to 20% of the soil applied N leached out as $NO_3^-$ the rhizosphere. Nitrogen leaching during winter was estimated to be 16 and 20 kg/ha when the basal application level of urea fertilization was 80 and 120 kg/ha, respectively.

추파 대맥포장에서 기비(基肥)로 시용한 요소(尿素)의 토양중 질산화율(窒酸化率)과 월동기간중 보리의 고사체(枯死體)함유된 질소의 양(量)과 작토층에서 소실(消失)된 질산태질소의 양(量) 및 월동 후 토양에 잔존하고 있는 질소의 양(量)을 추정하고자 실시되었다. 보리 품종 올보리를 공시하고 작물시험장 맥류포장에서 기비 사용량을 0, 40, 80 및 120kg/ha을 요소(尿素)로 시용하였다. 파종은 10월 12일에 하였고 이듬해 3월 17일까지 조사하였으며, 월동기간은 12월 15일부터 3월 17일까지로 하였다. 또한 같은 토양을 이용하여 질산화작용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5, 10 및 $15^{\circ}C$ 조건에서 4, 8, 16 mg N/100g soil 수준으로 배양(培養)하였다. 1. 토양의 $NH^+\;_4-N$$NO^-\;_3-N$ 함량의 변화는 요소(尿素) 시용 후 40일경을 기점으로, 40일경까지는 $NH^+\;_4$가, 그리고 그 이후에는 $NO^-\;_3$ 가 각각 가급태(可給態) 질소(窒素)의 주(主)를 이루었다. 2. 토양에 시용된 요소(尿素)의 질산화는 요소(尿素) 시용량이 많을수록, 그리고 온도가 낮을수록 완만하게 진행되었는데, $5{\circ}C$$15{\circ}C$에서의 질산화율(窒酸化率) $40{\sim}50%$가 일어났다. 3. 질산화작용(窒酸化作用) 관여하는 ammonia oxidizing bacteria 와 nitrite oxidizing bacteria의 수는 요소(尿素) 용량의 증가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增加) 하였다. 4. 월동 후 생존한 보리에 함유된 질소량(窒素量)은 기비량(基肥量)의 10% 미만이었고, 작토층에 잔류한 가급태질소(可給態窒素)의 함량은 기비량의 약 $24{\sim}26%$ 이었으며, 월동기간중 보리의 고사체에 함유되어 유기태질소로 소실(消失)된 양(量)은 기비량의 약 50%였고, 질산태질소의 용탈양(溶脫量)은 약 $17{\sim}20%$에 달하였다. 월동기간중 질산태질소의 용탈량은 기비사용량 80 및 120kg/ha에서 각각 ha당 16kg 및 20kg 정도로 추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