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본류에 서식하는 붕어에서의 총수은 및 유기수은 함량

Contents of Total and Organic Mercury in Bone, Muscle and Fin of Carassius carassius Middle Steam of Nakdong River, Korea

  • 최영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 김두희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Choi, Young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Doo-Hi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3.12.30

초록

낙동강 담수어 중 붕어에서의 총수은 및 유기수은 함량을 지역별, 크기별, 부위별로 조사하기 위해 1993년 2월부터 3월 사이에 낙동강 본류의 5개 지점을 택하여 각 지점마다 크기군별로 붕어를 채집한 후 근육부, 뼈, 지느러미로 분류 혼합하고, 수은분석기(Model SP-3A)를 이용한 선택적 환원기화법과 가열기화 금아말감법 총수은 및 유기수은 함량을 분석하였다. 선택적 환원기화법에 의한 5개 전지역에서 붕어의 부위별 총수은, 유기수은 함량은 뼈에서 각각 $0.399{\pm}0.4419$, $0.265{\pm}0.2967$ ppm으로 가장 높았고, 근육부에서 가장 낮았다(p<0.01). 총수은에 대한 유기수은의 분율은 근육부에서 $69.0{\pm}3.50%$로 가장 높았다(p<0.01). 근육부에서의 지역별 총수은, 유기수은 및 총수은에 대한 유기수은의 분율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총수은, 유기수은 함량은 왜관지역이 $0.130{\pm}0.619$ ppm, $0.089{\pm}0.0408$ ppm으로 가장 높았고, 상주가 $0.091{\pm}0.0154$ ppm, $0.060{\pm}0.0128$ ppm으로 가장 낮았으며, 총수은에 대한 유기수은의 분율은 안동이 $70.8{\pm}4.22%$로 가장 높았다. 뼈와 지느러미에서는 총수은, 유기수은 모두 안동이 가장 높았고, 강정이 가장 낮았다(p<0.01), 총수은에 대한 유기수은의 분율은 뼈에서는 왜관(p<0.01)이, 지느러미에서는 상주지역에서 높았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붕어의 서식지역을 고려하지 않은 크기에 따라 부위별 함량은 근육부에서는 총수은 및 유기수은 함량이 모두 15-19cm 군이 가장 높았고, 25-29cm 군이 가장 낮았으며(p<0.05), 총수은에 대한 유기수은의 비는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20-24cm 군이 $70.6{\pm}3.30%$로 가장 높았고, 뼈에서는 10-14cm 군이 가장 높았고, 25-29cm군이 가장 낮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지느러미에서는 20-24 cm군이 가장 높았고, 25-29cm 군이 가장 낮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낙동강 하류로 내려오면서 붕어의 수능 함량에는 특정 분포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류의 성장에 따른 체내 수은 축적 변화는 크기가 작을수록 함량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 성장해 갈수록 상대적으로 희석되어 근육중 수은함량이 낮아진 것이 아닌가 생각되며 앞으로 좀 더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levels of mercury in tissue of Carassius carassius collected at five areas(Andong, Sangju, Waekwan, Gangjung and Gaejin) in Nakdong river from February to March, 1993. The contents of total and organic mercury were determined by methods of Gold amalgam and Selective atomic absorption with mercury analyzer(Model SP-3A). The total mercury contents in muscle were $0.148{\pm}0.0646$ ppm by the Gold amalgam, and $0.113{\pm}0.0345$ ppm by the Selective atomic absorption, but in all parts of Carassius carassius were $0.342{\pm}0.4235$ ppm and $0.240{\pm}0.2974$ ppm respectively. These two methods were extremely high correlated(r=0.9812, p<0.001). The mean value of total and organic mercury by the two methods was high in the order of bone>fin>muscle, respectively, and the proportion of organic mercury to the total was 69.0%. Mean value of total and organic mercury in the muscle was the highest at Wakeman located in middle basin of Nakdong river, and in the bone and fin was the highest at Andong dam located in upper basin. According to sizes and parts of fish, the concentration of mercury was the highest in the muscle of 15-19 cm group, the highest in the bone of 10-14 cm group and in the fin of 20-24 cm group.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