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us of Tuberculosis Control in Rural Area

일부 농촌지역 결핵환자들의 관리 양상

  • Park, Chan-Byoung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un, Byung-Yeol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Yeh, Min-Ha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박찬병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 천병렬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 예민해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Published : 1993.12.30

Abstract

This study was done about 371 tuberculosis(TB) patients composed 195 newly registered at Kyungju Gun Health Center from May 1989 to April 1990 (Group A) and 176 being treated at hospitals or private clinics from January 1988 to November 1989(Group B). When Group A patients visited and newly registered at Health Center, data was obtained by interviewing with a prepared questionnaire paper. And well trained inquirer visited Group B patients and obtained data by the same method from February 1990 to April 1990. The results are as follows ; Group A was generally lower than Group B in socioeconomic status and in family history of TB, the rate of Group A was 24.1% and higher than 11.9% in Group B(p<0.05). Knowledge about TB was improved more than past, but those who answered that TB is 'a communicable disease' were 59.5% in Group A and 51.7% in Group B(p<0.05). Those answered that TB is 'a inherited disease' were 9.2% and 11.4% each. And 1.7% of Group B answered that TB is 'a incurable disease'. Knowledge about TB treatment also was improved more than past, but in the rate of those who answered that TB is a curable disease provided by well treatment Group B(77.8%) was worse than Group A(91.3%). The rate of those who answered that TB were been able to cure by regularly anti-TB medication were 98.0% in Group A and 89.8% in Group B. It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ate that patients took the first diagnosis and wanted to receive treatments at the same organ were 34.9% of Group A at Health Center and 72.2% of Group B at hospitals or private clinics. And it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asons that Group B knew Health Center treated pulmonary TB but they was treated at hospitals or private clinics, unreliability to Health Center was 48.1%. The reasons that Group A was treated at Health Center were 'because of trust' 63.1%, 'because of low cost' 50.3%, 'because of low cost except trust' 9.3%, 'no specific reasons' 27.7%. In the courses of knowing that TB was controlled at Health Center, 'by neighborhood, health worker and doctors' were 84.9% in Group A and 69.0% in Group B. But 'by TV or radio' were 8.2% in Group A and 14.7% in Group B, 'by school education' 2.5% in Group A and 6.2% in Group B. Conclusively, Group A patients were lower than Group B in socioeconomic status, but better than in knowledge about TB. Its reasons was suggested that Health Center had controlled TB patients better than hospitals and private clinics. But considering, that difference in the rate of the same organ for the first diagnosis and treatment, that the only 63.0% of Group A have treated due to 'reliability to Health Center', and that 48.1% of Group B knew that Health Center treated pulmonary TB but didn't visit it due to 'unreliability to Health Center', that public relations(PR) about use Health Center for pulmonary TB and health education for TB was thought to have to strengthened.

1989년 5월부터 1990년 4월까지 경주군 보건소 결핵실에 신규등록한 초치료 결핵환자 195명과, 경주군 의료보험조합에 가입하여 1988년 1월부터 1989년 11월 까지 병 의원에서 치료 중인 결핵환자 381명중 조사가 가능했던 176명을 대상으로 결핵에 관한 관리양상을 조사하였다. 보건소 등록자가 병 의원 등록자보다 사회경재적 수준이 대체적으로 낮았으며, 가족 중 환자의 비율이 보건소 등록자가 병 의원 치료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폐결핵에 대한 인식이 과거보다 개선되어 결핵이 '전염병'이라고 정확하게 알고 있는 사람은 보건소 등록자와 병 의원 치료자가 각각 59.5%와 51.7%로 나타났으며 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유전병'이라고 알고 있는 자도 두군에서 각각 9.2%와 11.4%로 나타났다. 폐결핵 치료에 대한 인식에서도 '잘 치료하면 환치가 가능하다'라고 대답한 사람이 보건소 등록자가 3%로 병 의원 치료자의 77.8%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폐결핵 치료를 위해서 '규칙적으로 약을 복용해야 한다'고 답한 자가 보건소 등록자가 98.0%로써 병 의원 치료자의 89.8%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규칙적으로 약을 복용해야 한다'고 답한 사람들 중에서 기타 질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항목에 대한 보건소 등록자가 병 의원 치료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현재의 치료기관과 최초의 진단기관 및 치료받고자 원하는 기관의 일치도에 있어서는 병의원 치료자가 72.2%로 보건소 등록자의 34.9%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또 보건소 등록자가 보건소에서 최초의 진단을 받은 경우가 40.5%로써 병 의원 치료자가 병 의원에서 최초의 진단을 받은 89.2%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현재의 치료기관과 최초의 진단 기관 및 객담 검사를 받은 기관의 일치도에 있어서도 보건소 등록자가 40.0%, 병 의원 치료자가 66.5%로써 유의한 차이을 보였다(p<0.05). 보건소에서 폐결핵을 치료하는 줄 아는지 여부를 물은 결과 보건소 등록자는 81.5%, 병 의원 치료자는 73.3%가 알고 있었다고 답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병 의원 치료자들이 보건소에서 폐결핵을 치료하는 줄 알면서도 이용하지 않은 이유 중 481.%가 보건소에 대한 신뢰도에 문제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소에서 거의 무료로 폐결핵을 치료한다는 것을 알게된 동기가 보건소 등록자와 병 의원 치료자 중 인간경로를 통한 경우가 각각 84.9%, 69.0%인데 비해 매스미디어를 통한 경우는 8.2%, 14.7%였고, 학교교육을 통한 경우는 2.5%, 6.2% 등으로 나타났다. 보건소 등록자들이 보건소에서 치료받은 이유는 63.0%가 '믿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지만 50.3%는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이라고 했으며, '믿을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이라고 한 경우가 9.3% 였고, 27.7%는 특별한 이유없이 보건소에서 치료받는 자들 이었다. 결론적으로, 보건소 등록자가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질병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은 가족 중 결핵환자가 많은 것과 보건소가 결핵 관리를 더욱 철저히 하는 영향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최초 진단 기관과 치료받은 기관의 일치도의 차이와 보건소 등록 환자의 63.0%만이 보건소를 신뢰하기 때문에 치료받는다고 한 점, 그리고 병 의원 치료자의 48.1%가 보건소에서 결핵을 거의 무료로 치료 받는다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신감 때문에 보건소에 오진 않는 것으로 나타나는 점 등을 고려해 볼 때 보건소 이용에 관한 홍보와 결핵에 대한 보건교육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