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escriptive Study on the Tuberculosis Mortality in a Tuberculosis-Centered Hospital

한 결핵전문병원의 입원 결핵환자 사망에 대한 기술통계학적 고찰

  • Kim, Soo-Young (Department of Chest Medicine, Seoul Seolaemoon City Hospital) ;
  • Byun, Joo-Nam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Choi, Jin-Su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nam National University)
  • 김수영 (서울 시립서대문병원) ;
  • 변주남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최진수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3.10.31

Abstract

Background: Today, tuberculosis continues as an important cause of death in Korea despite the effective treatment and prevention. So we have studied charicteristic distribution of death by pulmonary tuberculosis through epidemiologic survey. Subjects and Method: The mortality data were obtained from 684 pulmonary tuberculosis cases who died in a tuberculosis-centered hospital in Seoul during the period of 5 years from 1986 to 1990. In order to estimate the distribution of death by tuberculosis, t-test and $x^2$-text were performed on the data. Results: 1) 19.9% of patients died among the total 3,441 hospitalized pulmonary tuberculosis cases during 5 years. 2) In distribution of sex and age, male death occupies 81% of total death. Significantly high proportions of younger female death (under 40 years-old) were also observed. 3) In terms of medical security status, medical assistance group occupies 42.3% of medical insurance group while the non-security group also occupies 11.8% of total death. 4) Treatment interruption was observed in 78% of total death. Conclusion: Special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he identification, management and follow up of high risk group in nationwide tuberculosis control program.

연구배경 : 우리나라의 결핵은 그 예방 및 치료에 괄목할 만한 진전이 있었음에도 사망 순위 10위 안에 들어 있으므로 결핵환자 사망에 대한 역학적 조사를 통하여 분포특성을 제시하여 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법 : 1986년부터 1990년까지의 5년동안에 걸쳐 한 결핵전문병원에 내원하여 사망하였던 총 68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일반 역학적 정보와 질병정보를 중심으로 조사하여 변수간의 연관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1) 5년간의 총 결핵 입원환자 3441명중 684명 인 19.9%가 사망하였다. 2) 남자가 81.0%였으며 남자의 경우는 연령별 분포의 차이가 없었으나 여자의 경우 39세 이하군이 46.3%로 유의하게 많았다. 3) 사망의 의료보장별 분포는 의료보호군이 의료보험군의 42.3%로 매우 많았으며 비보장군도 전체의 11.8%나 차지하였다. 4) 치료를 중단한 경험이 있는 경우나 78.2%를 차지하여 지속적이지 못함을 나타내었다. 결론 : 대상병원의 특이성도 있지만 아직도 많은 폐결핵환자가 사망하고 있고 이들의 대부분이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었고 병의 정도가 중증인 경우와 재발한 경우가 많아 지속적인 공중보건학적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