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Flavor Characteristics and Palatability of Beef Obtained from Various Breeds

품종별 쇠고기의 풍미특성과 기호성 비교

  • Park, Hyung-Il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Moo-Ha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ung, Myung-Sub (American Soybean Association, Seoul, Korea)
  • 박형일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과) ;
  • 이무하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과) ;
  • 정명섭 (미국대두협회 한국지회)
  • Published : 1994.10.01

Abstract

For comparison of beef quality, four kinds of beef (Korean native cattle beef, dairy cattle beef, imported beef, cross-bred beef) were investigated through tenderness, juiciness and flavor related components measurement and organoleptic tests. Flavor related chemical components such as NPN, IMP, free fatty acid and free amino acids were analyzed, water holding capacity, contents of hydroxyproline and intramuscular fat were measured for evaluation of beef tenderness. Instron was also used for measuring beef tenderness as an objective method. Triangle test and descriptive analysis test were conducted for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preference of various beef samples. In hardness analysis using Instron, imported and cross-bred beefs had higher value than that of Korean native cattle or dairy cattle beef. Water holding capacity and pH of Korean cattle beef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s. The intramuscular fat content of Korean cattle beef was highest, so it was expected juicier than other beef. In flavor related compound analysis, NPN content of Korean native cattle beef was the lowest, which shows it spent the least time among sample meats after slaughter. IMP, hypoxantine and inosine were most abundant in Korean native cattle beef. In free amino acids analysis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basic acid and aromatic acid content of Korean native cattle beef was highest, whereas that of sulfur containing amino acid of imported beef was highest. TBA value of Korean native cattle beef was the lowest, and analysis of fatty acid composition revealed that the proportion of unsaturated fatty acid of Korean native cattle beef was higher than imported and dairy cattle beef, but similar to cross-bred beef. Organoleptic test was performed by triangle test and descriptive analysis. In triangle test, most panelist could distinguish Korea native cattle beef from imported beef and cross-bred beef, imported beef from cross-bred beef. In descriptive analysis which relys on subjective standards of panelists,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beef in aroma, flavor and tenderness except juiciness. Even though contents of non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orean native cattle beef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beef samp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panel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consumers do not have common standards for beef quality evaluation.

한우육(1등급), 유우육, 교잡종우육 및 호주산 수입우육의 등심부위를 구입하여 각종의 쇠고기 품질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연도, 다즙성 및 풍미에 관련되는 성분을 분석함과 아울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풍미에 관련되는 화학적 성분들로서는 비단백태질소, 핵산물질, 지방산, 유리아미노산 등을 분석하였고 쇠고기의 연도 측정을 위해 Hydroxyproline, 보수력, 근내지방함량 분석 및 Instron을 이용한 연도측정을 하였다. 또한 쇠고기의 기호성 및 풍미특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주관적 평가방법인 삼점검사와 정량적 묘사분석을 수행하였다. 풍미에 관련되는 비단백태질소, 핵산물질, 지방산, 유리아미노산 등을 분석한 결과, 비단백태질소는 한우육이 가장 낮아 도살후 저장기간이 가장 짧은 것으로 판단되며, 핵산물질은 한우육이 가장 높았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한우육이 가장 낮았으나 염기성 아미노산과 방향족 아미노산의 상대적 비율은 가장 높았던 반면, 황함유 아미노산의 함량은 수입육이 가장 높았다. TBA가(價)는 한우육이 가장 낮았고, 지방산의 구성을 볼 때 한우육의 불포화지방산 비율은 수입우육이나 유우육보다 높았으나 교잡종우육과는 비슷하였다. 연도는 Instron을 이용한 경도측정에서 수입우육과 교잡종우육이 한우육과 유우육보다 질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콜라젠 함량은 유우육이 가장 높았고 한우육이 가장 낮았다. 다즙성을 부분적으로 반영하는 보수력은 한우육이 가장 높았고 아울러 pH도 가상 높았다. 근내지방함량도 한우육이 가장 높아 다즙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triangle test에서는 한우육과 수입우육, 한우육과 교잡종우육, 수입우육과 교잡종우육간의 차이를 관능검사요원들이 구별하였다. 그러나 정량적 묘사분석 결과 다즙성을 제외하고는 냄새, 풍미, 연도에서 품종간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한우의 비휘발성 풍미성분은 다른 쇠고기 시료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냈음에도 불구하고 주관적 기호성 평가에서는 유의차를 나타내지 못했다. 이것은 한국인들이 아직 쇠고기 품질 특성에 대한 객관적 평가기준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어 여러가지 쇠고기간의 비교평가는 할 수 있지만, 개별 쇠고기에 대한 절대평가는 제대로 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