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tiple Daily Fractionated RT for Malignant Glioma

악성 성상세포종과 다형성 교아종 치료에 있어서 다분할 방사선 치료와 단순분할 방사선치료에 대한 성적비교

  • Yang Kang Mo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Chang Hye Sook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Ahn Seoung Do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Choi Eun Kyung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양광모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장혜숙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안승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최은경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1994.06.01

Abstract

Since Jan. 1992, authors have conducted a pilot study to treat malignant glioma with multiple daily fractionated(MDF) radiation therapy and this paper presents the outcome compared MDF to conventional factionated(CF) radiation therapy Between Sep. 1989 and Jan. 1993, forty three patients with high grade glioma of brain except brain stem glioma were treated: nine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CF radiation therapy and 24 patients were treated with MDF radiation therapy. In CF radiation therapy, total dose was 6300cGy/35fx in 7 weeks, which 5040cGy was delivered to the initial target volume and 1260cGy to reduced target volume. And in MDF radiation therapy, total dose was 6400cGy/40fx in 4 weeks, which 3200cGy was delivered to the initial target volume as 160cGy 2 times daily 6hr apart. All patients had histologically confirmed anaplastic astrocytoma(AA) of glioblastoma multiforme (GBM) with stereotactic biopsy or craniotomy for subtotal or gross tumor resection. The range of follow-up was 7 months to 4 years with a median follow-up of 9 months. The Median survival from surgery was 9 months for all patients. The median survival was 9 months and 10 months for MDF group and CF group and 10 months and 9.5 months for glioblastoma multiforme and anaplastic astrocytoma, respectively. In 36 patients with follow-up CT scan or MRI scan, disease status was evaluated according to treatment groups, Four patients(GBM:3, AA:1) of 21 patients in MDF group, were alive with no evidence of disease, while none of patient was alive with no evidence of disease in CF group. The progression of disease had occurred in 20 patients, 11 patients and 9 patients in MDF group and CF group, respectively All of these patients showed in-field progression of disease, Four of 11 patients($27\%$) in MDF group showed the new leasion outside of the treatment field, while 5 of 9 patients($56\%$) in CF group. In our study the prognosis was not influenced by age, KPS, grade, extent of surgery and different fractional scheduled radiation therapy. Authors concluded that MDF regimen was well tolerated and shortened the treatment period from 7 weeks to 4 weeks without compromising results. We believe that further follow-up is needed to assess the role of MDF.

본 연구는 1989년 1월부터 악성성상세포종과 다형성 교아종에 대해 시행된 방사선 치료에 다분할 방사선 치료와 단순분할 방사선 치료와 단순분할 방사선 치료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고 이들 뇌종양의 방사선치료후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뇌간의 교종 환자를 제외한 전체 43명의 환자는 조직학적으로 악성성상세포종과 다형성교아종으로 확인되었고, 모두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환자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예후인자인 연령, 성별, 수행능력, 조직학적 형태, 종양의 절제정도에 따라 분류하였다. 정위적 조직 생검만 시행한 경우는 13명으로 다분할 방사선 치료군과 단순분할 방사선 치료군에서 각각 8명, 5명이었고 개두술에 의해 종양절제술을 받은 경우는 30명으로 다분할 방사선 치료군과 단순분할 방사선 치료군에서 각각 16명과 15명이었다. 조직학적 소견에 따라 악성성상세포종은 15명으로 다분할 방사선 치료군과 단순분할 방사선 치료군에서 각각 6명, 9명이었고 다형성교아종은 25명으로 다분할 방사선 치료군과 단순분할 방사선 치료군에서 각각 16명, 10명이었다. 수행 능력이 70이하인 경우는 8명으로 다분할 방사선 치료군과 단순분할 방사선 치료군에서 각각 4명이었으며 대부분이 수행능력 70이상이었다. 50세 이상인 경우 26명이었고 50세 이하인 경우가 18명이었다. 환자의 중앙연령은 52.5세이고, 범위는 2에서 78세였다. 방사선 치료는 1989년 1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단순분할 방사선이 19명의 환자에게 시행되었고 1992년 1월부터 1993년 1월까지 24명의 환자에서는 다분할 방사선 치료가 시행되었다. 단순분할 방사선치료는 종양부위에 하루 일회 1.8Gy씩 조사되어 7주에 걸쳐 총 63Gy가 조사되었다. 그리고 다분할 방사선 치료는 종양 부위에 1.6Gy씩 1일 6시간 간격으로 2회씩 조사하여 4주에 걸쳐 총 64Gy가 조사되었다. 중앙추적 관찰기간은 9개월이었고 범위는 7개월부터 4년이었다. 전체 환자의 중앙생존 기간은 9개월 이었고 단순분할 방사선 치료군과 다분할 방사선 치료군에서 각각 9개월, 10개월 다형성교아종파 악성성상 세포종에서 각각 10개월 9.5개월이었다. 방사선 조사방법에 따른 비교와 조직학적 형태에 따른 비교에서 의미있는 통계적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컴퓨터 단층촬영이나 핵자기 공명촬영으로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36명의 환자에서 질병의 상태를 평가하였으며 다분할 방사선 치료군에서 21명중 4명이 무병상태로 생존해 있었고 단순분할 방사선 치료군에서는 13명중 무병상태로 생존한 환자는 없었다. 20명의 환자에서 질병이 진행되거나 재발하였는데 이들중 8명은 방사선이 조사되지 않은 새로운 부위에서 재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예후 인자로 알려진 연령, 수행능력, 조직학적 형태, 종양의 절제정도가 예후에 영향 미치는 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 추적기간이 짧기 때문에 정확한 결론을 도출하기 어려우나 고등급 교종에서 다분할 방사선 치료 방법으로 1.6Gy씩 1일 2회로 총 64Gy 조사는 단순분할 방사선 치료방법에 의한 결과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여주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단순분할 방사선 치료와 비교해서 치료에 큰 장애 없이 치료기간을 약 3주 정도 단축시킬 수 있었다. 정확한 결론을 얻기위해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며 치료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방사선 조사 방법에 있어서 총 방사선량, 1회 방사선 조사량의 조정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며 총 방사선량을 증가시키는 한 방법으로 다분할 방사선 치료와 감마 나이프나 침입형 근접치료를 병용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