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Conformability for Cadastral Control Network Using GPS Satellite Surveying

GPS에 의한 지적삼각망의 정합성 분석

  • Published : 1994.06.30

Abstract

A number of existing cadastral control stations have been destroyed and shifted by a long lapse of time and careless management. Also, results of them are partly poor owing to dependence on conventional survey method. Because of these, it is very difficult in use of results. Hereupon, correction of cadastral results is necessary in level of government. But it is very consumable to check and adjust results with existing equipments and related techniques only. It is required that this problem can be resolved efficiently. This study analyzed the conformability for cadastral control network to GPS, GPS, which determine precise 3-D coordinates on a short time, to positioning of cadastral stations. We chose DaeJon city for the test area of this study and analyzed the precision of network composed of sixteen cadastral control stations. We made comparision the old result and the new outcome which obtained from coordinate transformation method and horizontal network adjustment method. As a result of this, we detected the blunder of cadastral stations. Furthermore, we suggested effective network type according to precision analysis of GPS observation network. Therefore, there is no doubt that GPS surveying can be applied to checking and adjustment of cadastral control network. Hereafter, it is expected that the practical use of GPS is advanced in a field of cadastration.

현재 지적의 기초점으로 사용되고 있는 삼각점들은 오랜시간의 경과와 관리소홀로 망실되거나 이동된 것이 많고 그 성과도 재래적인 방법에 의존하고 있어 이들 성과의 이용에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국가적 차원에서 지적 삼각점들에 대한 재정립과 성과의 갱신이 필요하나 기존의 장비와 관련기술 만으로는 전반적인 점검과 조정에 있어 막대한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한 연구가 요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단시간내에 높은 정밀도로 3차원 좌표를 결정할 수 있는 GPS를 지적삼각점의 위치결정에 응용하고자 GPS에 의한 지적삼각망의 정합성 분석을 연구한 것이다. 대전시 전역의 16개 지적삼각점을 선정하여 지적삼각망을 구성, 이에 대한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좌표변환방법과 X, Y 망조정 방법에 의한 GPS측량 성과를 지적삼각점의 기존성과와 비교 분석하므로서 지적삼각점 성과에 포함된 과대오차를 검출할 수 있었고 GPS 관측망 형태에 따른 정밀도를 분석하므로서 효율적인 관측망 형태를 제시할 수 있었다. 따라서 GPS를 지적삼각망의 점검과 조정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향후 지적삼각점의 평지화와 신설 등 지적분야에서 GPS의 실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