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Agronomic Chara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s

수수$\times$수단그라스 잡종의 생육특성과 생산성

  • 이상무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 전병태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 구재윤 (상주산업대학 축산학과)
  • Published : 1994.03.0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of high productivity suited for soiling, and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9 cultivars of introduced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s have been evaluated at the experimental forage field, College of Natural Science of Kon-Kuk university in Chungju over three year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NC855, Sordan79 and T. E haygrazer were taller than the other varieties as range from 209cm to 213cm. while Supergrazer was the shortest type as 173cm. Among the nine varieties used, NC855 and Pioneer 988 were classified as early maturing varieties, but G83F, FP5 and Supergrazer were classified as lately maturing varieties. 2. The stem diameter of Supergnzer and Sordan79 were thicker than the other varieties, while NC855, Garst757 and FP5 were thin. 3. The tillers of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s were ranged from 3.1 to 4.0 and NC855 and FP5 had 4.0 tillers per plant. The dead stubble of Sordan79 was the lowest as 4.0 percentage, while Supergrazer was the highest as 9.8 percentage(P<0.05). 4. GW9110G and T. E haygrazer were susceptible to lodging(P

본 시험은 사초용으로 생산성이 우수한 수수$\times$수단그라스 잡종을 선발할 목적으로 도입 9품종의 생육특성과 생산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시험은 3년간(1989-1991)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부속 사료포장에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용약하면 다음과 같다. 1. 3년간 평균초장은 $NC^+855$, Sordan79와 T.E. haygrazer가 다른 품종에 비해 길었으며, Super grazer는 173cm로 가장 짧게 나타났다(p<0.01). 1차예취시 생육단계에 있어서는 $NC^+855$와 Pioneer988이 빨랐으며, G83F, FP5, Super grazer는 늦은 품종으로 나타났다. 2. Super grazer와 Sordan79는 경이 굵은 품종인 반면, $NC^+855$, Garst757과 FP5는 타 품종에 비해 경이 가늘은 품종으로 나타났다. 3. 평균 벽자수는 3.1~4.0개이며, $NC^+855$와 PF5는 4.0개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고사솔은 Sordan79가 4.0%로 가장 낮은 반면, Super grazer가 9.8%로 가장 높았다(p<0.05). 4. GW9110G, G83F, T.E. gaygrazer는 도복성이 심하며(pM0.01), 붉은 반점 출현은 Grarst757, $NC^+855$, Sordan79에서 특히 심하였고(P<0.05), 서리피해도 전 품종에서 높게 나타났다. 5. 상대기호성은 GW9110G, Sordan79, Garst757이 높았으나 G83F와 Super grazer는 낮게 나타났다(P<0.05). 나머지 4품종은 이들 중간이였다(73-78%). 6. 건물수량에 있어서는 공시 품종간에 유의차는 없었으나 Pioneer988과 Sordan79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모든 품종이 연작에 의한 감수현상을 나타냈다. 이상 수수$\times$수단그라스의 9품종중 생육특성 및 건물수량면에서는 Pioneer988과 Sordan79가 가장 좋았으나 GW9110G와 Garst757은 기호성이 타 품종에 비하여 높은 반면 다소 수량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