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농촌 지역 여성노인의 건강 및 식생활 실태조사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and Dietary Intake of Rural Elderly Women in Kyeonggi Province

  • 이종현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가정학과) ;
  • 김민선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가정학과) ;
  • 이연숙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가정학과) ;
  • 박양자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가정학과)
  • 발행 : 1994.12.01

초록

경기도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농촌 여성노인 133명을 대상으로 건강상태, 영양소 섭취실태 및 식습관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연령은 60~69세가 41.4%, 70~79세가 48.1%였고 가족수는 3명 이상이 76.0%, 2명인 경우가 20.9%, 노인 혼자 살고 있는 경우는 13.2%를 차지하였다. 학력 정도는 무학이 72.4%, 국졸 26.8%로 학력수준이 매우 낮음을 보였다. 2. CMI를 이용한 건강상태 조사결과 총45점 만점 중 평균 $29.1\pm6.8$점이었으며, 11~25점이 30.1%, 26~33점이 40.6%, 33~44점이 29.3%였다. CMI 각 항목에 대한 호소율은 관절 및 골격근에 대한 증상이 68.8%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피로감, 정신적 불만, 이비인후계, 신경계의 순이었다. 가족원수, 교육수준 및 영농참여에 따른 CMI값은 큰 차이가 없었고, 연령의 경우 65세 미만에서는 CMI값이 낮은 경우가 44.0%로 가장 많았으며, 65~79는 중간상태가 가장 많은 반면 80세 이상에서는 CMI값이 높게 나타났다. 소득수준이 높거나 낮은 경우에 중간인 경우보다 CMI가 낮았으며 조사대상자가 스스로 느끼는 계층의식과의 관계에서는 잘 살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못산다고 생각하는 경우보다 약간 높은 CMI값을 보였다. 3. 조사대상자의 평균 영양소 섭취량은 thiamin과 ascorbic acid를 제외하고는 모두 권장량에 미달되었다. 에너지는 권장량의 84.1%, 단백질은 67.0%, riboflavin은 90.1%를 섭취하고 있었으며, vitamin A는 권장량의 49.1%로 제일 낮은 섭취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 칼슘은 권장량의 55.1%를 섭취하였다. 영양소 섭취량과 일반적 특성과의 관계에서는 독신인 경우에 에너지, 단백질, ascorbic acid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CMI값을 low, middle, high의 3 group으로 나누어 영양소 섭취량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칼슘을 제외한 다른 영양소들에서 low group과 다른 두 group사이에 유의적인 차이 (p<0.05)를 보였으며, riboflavin은 low group과 middle group 사이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의 CMI값과 영양소 섭취량과의 상관관계는 칼슘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p<0.001로 높게 나타났다. 4. 식습관 조사결과 식사의 규칙성은 응답자의 84.8%가 항상 규칙적으로 식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식을 하는 경우의 해당 끼니는 점심 52.4%, 아침 28.6%, 저녁 19.0%의 순이었고 결식을 하는 이유로는 식욕이 없어서가 40.9%로 가장 많았다. 음주율은 28.8%로 주로 막걸리, 소주 위주였으며 흡연정도는 19.2%였다. 음식의 짠맛에 대한 기호도는 싱겁게 먹거나(43.4%), 약간 싱겁게 먹는 것(25.6%)으로 나타났으며 생선과 육류에 대한 선호도는 육류보다 생선을 약간 더 많이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가지 모두를 섭취하지 않는 사람도 23.5%나 차지하여 단백질 식품의 질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영양제 복용은 대상자의 38.3%가 실시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농촌여성노인이 가지고 있는 건강문제 중 관절 및 골격근 문제가 가장 심각하며, 영양소 섭취량 중 retinol, calcium, protein의 섭취가 현저히 부족하였다. 일반적인 특성과 식습관은 건강상태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CMI 값과 영양소 섭취량과의 상관관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독신 여성노인에 있어서 영양소 섭취량이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잡한 문제를 안고 있는 농촌여성 노인의 건강상태 및 영양소 섭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본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health status and nutritional status based on dietary intake and food habit of elderly women in rural area of Keyonggi Provinc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33 elderly women aged 60 and over and interviewed with a questionaire. Main result was as follows : 1) Health score based on modified Cornell Medical Index, CMI(45 out of 195 items) was the average $29.1\pm6.8$ an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family size educational level and farmwork participation. In age, 44.0% of the subject in 60~65 years old was low score of CMI(11~25), but 50% of the subject in older than 80 years old was high score(33~44). The subject with disease was 82% and disease of musculoskeletal system was main type. 2) Dietary intake data obtained by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aire showed the average daily intake of energy, protein, Ca, retinol and riboflavin was lower than RDA Daily energy, protein and Ca intake was individually 84%, 67% and 55.1%. It was retinol that was the least sufficient as 49.1% of RDA. 3) The relation between CMI score(divided into three level : low, middle and high) showed low leve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others according to daily intake of energy, protein, retinol, thiamin, riboflavin and ascorbic acid. The correlation between CMI score and all nutrient intake were highly significant (p<0.001), thus we knew that health status was affected importantly by nutrient intake. 4) Family size, educational level and age showed not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nutrient intake. 5) In food habit, 84.8% of the subject had regular mealtime and 14.4% were skip meal sometimes. The main reason of skip meal was a poor appetite. Preference for salty taste of subject was insufficiently salty of somewhat salty. Preference for fishes and meats showed the subject consumed fishes more than meats, but 23.5% of the subject didn't consume both. The subject eaten supplement was 38.3%.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