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호 수집종의 근 수량 및 Saikosaponin 함량

Root Yield and Saikosaponin Content in Local Strains of Bupleurum falcatum L.

  • 발행 : 1994.08.01

초록

본 시험은 1990년 11월부터 1992년 11월까지 국내에서 수집된 시호 6계통과 일본에서 도입된 삼도종을 공시하여 생육특성, 근수양성 및 saikosaponin 함량을 조사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래종 시호의 개화기는 1년생이 8월 2∼3일, 2년생은 7월 16∼18일로, 1년생보다 2년생이 일찍 개화하였으며, 일본도입종인 삼도종은 국내 수집종에 비하여 1년생은 18일, 2년생은 32일각각 늦게 개화하였다. 2. 초장 및 경태에서 춘천종은 초장이 크고 경태가 굵은 편이었으며 삼도종은 다분지형이었다. 3. 근장, 근태 및 지근수는 국내 수집종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삼도종은 뿌리가 굵고 짧으며 지근이 적은 경향이었고, 건근수량은 1, 2년생모두 춘천종이 높았으며, 2년생근의 10a당 평균수량은 105Kg으로 1년생근에 비해 2.6배를 보였다. 4. Saikosaponin 함량면에서 춘천종은 1, 2년생근 모두에서 높은 편이었고, saikosaponin 조성에서는 국내 재래종이 일본에서 도입된 삼도종보다 약리활성이 높은 saikosaponin a 및 d의 함량비율이 높아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Six local strains collected in Korea and one cultivar (Samdo) introduced from Japan were applied for comparative cultivation to investigate growth characteristics, root yield potentials and saikosaponin contents of root in Bupleurum falcatum L. The one and two year old plants of the native local strains flowered in August 2~3 and July 16~18, respectively, whereas Samdo was late flowering type, being delayed by 18~32days and sustained the growth of above ground parts to the end of November. All the native local strains have similiar characteristics but Samdo was completely different in plant and root type. Local strain collected from Chunchon showed better in growth and root characteristics, consequently resulting high yield of dry roots and saikosaponin contents in both one and two year old plants. The average yield of two year cultivation system was 2.6 times high as 105Kg /10a, compared with that of one yea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