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gnitive Test of Drivers' Car Following Distance and its Characteristics

도로(道路) 운전자(運轉者)의 차간거리(車間距離) 인지실험(認知實驗) 및 그 특성(特性)

  • 남궁문 (원광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1994.03.10
  • Published : 1994.09.30

Abstract

Driving maneuvers in car-following are affected not only by the factors related to road and traffic conditions, but also by factors related to drivers' cognition to them. This paper attempts to analyse drivers' car-following distance tests on road characteristics. Driving maneuvers are directly observed by video recorder sets in the vehicle. At the same time drivers are interviewed about their cognitive degree of car-following distance according to a given level of cognitive language. As a result, linguistical cognition of car-following distance is well fitted in with Weber-Fechner's law. This paper suggests a modeling method that takes into account the driver's cognition for acquiring traffic visible information on driving maneuver.

운전자의 주행거동(走行擧動)은 도로구조, 교통상황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인지(認知)와도 관련된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에 대한 차간거리(車間距離) 인지실험(認知實驗) 및 그 특성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행거동(走行擧動) 실험에서는 차량에 장착한 비데오카메라를 사용하여 운전자의 대한 차간거리(車間距離) 인지(認知)에 대한 언어적(言語的) 수준(水準) 등을 녹화하였다. 연구결과 운전자의 차간거리인지(車間距離認知)는 Weber-Fechner법칙에 따름을 알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도로주행시 얻어지는 시각정보(視覺情報)에 대한 인지(認知) 모델화방법(方法)을 제시한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과학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