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ylenol Orange와 계면활성제의 삼성분 착물에 의한 희토류원소의 분광광도법 정량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Rare Earth by Ternary Complex Using Xylenol Orange and Surfactant

  • 차기원 (인하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
  • 박찬일 (인하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
  • 강선희 (인하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
  • 장병두 (시립 인천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 투고 : 1994.07.04
  • 발행 : 1994.09.25

초록

Xylenol orange(XO)와 희토류 원소들간에 이루어진 착물에 cetylpyridium chloride (CPC), do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DTMAB), cetyltrimetylammonium bromide(CTMAB), Triton X-100 등의 계면활성제를 가했을 대의 흡광도 변화로부터 이들 원소를 정량하는 방법과 조성비를 연구하였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CTMAB가 있을 때 XO와 희토류 원소들간의 착물의 흡광도가 다른 계면활성제에서보다 더 컸다. 따라서 희토류 정량에는 이를 선택하였다. REE-XO-CTMAB 삼성분 착물은 618nm에서 최대 흡광도를 갖고 0~0.5ppm 범위에서 Beer 법칙에 따르고 몰흡광계수는 $1.5{\times}10^5mol^{-1}cm^{-1}l$이다.

The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rare earth elements with XO was investigated in the presence of cetylpyridium chloride(CPC), do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DTMAB), cetyltrimetylammonium bromide (CTMAB), Triton X-100 at pH 6.2. The complex between XO and rare earth elements in the presence of cationic surfactants was very stable and more sensitive than in the absence of surfactants. The largest absorbance increase was provided by CTMAB, which was therefore chosen for determination of rare earth elements. REE-XO-CTMAB complex has absorption maxima at 618nm and obeys the Beer's law in the range of 0~0.5 ppm. Molar absorptivity was $1.5{\times}10^5mol^{-1}cm^{-1}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