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sibility of Substituting Softwoods for Tropical Hardwoods of Door Frames

침엽수재(針葉樹材)의 남양활엽수(南洋闊葉樹) 문틀재(材) 대체(代替) 가능성(可能性) 조사(調査)

  • Kang, Ho-Yang (Dept. of Forest Products,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Jang, Sang-Sik (Dept. of Forest Products,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Hwa-Hyoung (Dept. of Forest Products,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강호양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임산공학과) ;
  • 장상식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임산공학과) ;
  • 이화형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임산공학과)
  • Published : 1994.12.31

Abstract

Since the supply of the Southeast Asian tropical timber decreases and its price steeply increases in the international lumber market, door and window frame manufacturers in this country are eagerly searching for their substitutes. This is the first step to replace Southeast Asian tropical timber by low grade North American softwoods, whose reliable and steady supply is expected, but their appearances are not as good as the tropical timber. In this study, knot distribution on the softwood boards and their warp were examined The yield and production cost were also calculated. The average numbers of knots on a door frame were 7.2 for Douglas-fir and 3.4 for Western hemlock. Only 11% of the knots of Douglas-fir door frames are larger than 5cm in diameter, while are 35% of the knots of Western hemlock. The deformations of door frames, after 2 months air-drying, were measured with a warp table. The deformations of Western hemlock door frames were mostly less than 6mm, while those of Douglas-fir distributed in the range of 0.5 and 9.5mm. The yield of Western hemlock is higher than that of Douglas-fir.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door frames made of the softwoods are compatible with those made of the tropical timber in most aspects except appearance.

국내시장(國內市場)에 안정적(安定的)인 공급(供給)이 가능한 온대(溫帶) 침엽수재(針葉樹材)를 남양(南洋) 활엽수재(闊葉樹材) 문틀재의 대체재(代替材)로 사용하기 위해 K등급(等級) 북미침엽수재(北美針葉樹材)의 옹이 분포도와 가공(加工) 후(後) 틀어짐 정도, 그리고 생산 수율(收率)과 단가(單價)을 조사하였다. D-fir와 W.hemlock를 문틀가공(加工) 전에 옹이 크기와 분포(分布)에 따라 등급판정(等級判定)한 결과(結果), 기둥재로 쓸 있는 A급소재(級素材)의 비율은 D-fir가 36.4%, W.hemlock가 24.3%으로 D-fir가 높았으나 이는 두 수종의 등급판정(等級判定) 기준이 다른 때문이며 재색(材色)으로 보나 재질(材質)로 보나 W.hemlock이 문틀재로 쓰기에 더 적합하였다. 문틀당 평균(平均) 옹이수는 D-fir와 W.hemlock이 각각 7.2개와 3.4개이며 W.hemlock은 8개이상(以上) 옹이를 가진 문틀재가 없는 반면, D-fir은 8개이상(以上) 옹이를 가진 문틀재가 전체의 절반이나 되었다. 한편 D-fir는 옹이직경(直徑) 5cm이상(以上)이 11%인데 반해 V.hemlock은 35%였다. 따라서 D-fir는 작은 옹이가 많이 있으나 W.hemlock은 큰 옹이가 비교적 적게 분포됨을 알 수 있다. 틀어짐 측정장치(測定裝置)로 잰 D-fir의 최대최소(最大最小) 변형차(變形差)는 D-fir의 경우 문틀재에 따라 0.5부터 9.5mm까지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어있는 반면 W.hemlock은 거의 대부분이 4.5mm이하(以下)에 몰려 있다. 6mm변형(變形)을 문틀재로 쓸 수 있는 한계점으로 볼 때 이 기준(基準)을 넘는 문틀재는 D-fir가 전체 21개 중 6개로 30%에 달하나, W.hemlock은 전체 25개 중 단 한 개만 있었다. 문틀재의 가공단계별(加工段階別) 원가(原價)를 산출(算出)한 결과(結果), D-fir는 1,993 원/재(才)였으며 W.hemlock는 1,697 원/재(才)였다. 이 차이(差異)는 주로 제재수율(製材收率)차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온대(溫帶) 침엽수재(針葉樹材) 문틀재, 특히 W.hemlock은 틀어짐이나 수율(收率), 가격에 있어 남양재(南洋材)와 충분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나 옹이가 없는 남양재(南洋材)에 길들여져 있는 소비자의 취향이 침엽수(針葉樹) 문틀재 시장(市場) 확장(擴張)에 중요(重要)한 요인(要因)으로 작용(作用)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산학협동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