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of Squid(Todarodes pacificus) Sik-hae in the Kang-Nung District -3. The Effects of Garlic Concentrations on the Properties of Sik-hae-

강릉지방의 오징어 식해 개발에 관한 연구 -3. 식해 숙성중 품질에 미치는 마늘 첨가량의 영향-

  • KIM Sang-Moo (Department of Fisheries Resources Development,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
  • BANK Oon-Do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LEE Keun-Tai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김상무 (강릉대학교 수산자원개발학과) ;
  • 백운두 (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이근태 (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4.07.01

Abstract

The effects of garlic concentrations on the properties of squid sik-hae such as the chemical and microbial changes were investigated. pH, the amounts of lactic aci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early stages of fermentation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t later stages with increasing garlic concentrations. The amount of TMAO de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periods and garlic concentrations, whereas that of TMA increased significantly at early stages of fermentation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increasing garlic concentrations. At later stages of fermentation, the amount of TMA at $2\%$ garlic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those at 3 and $4\%$.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increased significantly garlic concentrations at early stages of storage and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t later stages. The numbers of proteolytic bacteria, psychrotroph, and fungi increased in proportion to length of storage and garlic concentrations at early stages of storage whereas, the number of bacteria decreased significantly at later stages of storage with increasing garlic concentrations.

마늘 첨가량을 달리하였을 경우 숙성기간에 따른 오징어 식해의 성분 및 미생물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해 숙성중의 일반성분에 대한 마늘의 영향은 거의 없었으며 pH는 마늘농도 $2\%$$3\%$ 사이에는 별 차이가 없었지만 $4\%$ 마늘농도에서는 숙성초기를 제외하고는 마늘농도 $2\%$$3\%$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Lactic acid 량은 $4\%$ 마늘농도에서 $2\%$$3\%$보다 숙성초기에 많이 생성되었으며 숙성후기에 그 차이는 상당히 줄어들었다. 총 arginine 량 변화에 마늘의 영향은 거의 없었으며 아미노태 질소량은 숙성 초기에는 마늘농도가 증가할수록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TMAO는 숙성초기에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2\%$$3\%$ 농도에는 큰 차이는 없었으나 $4\%$ 농도는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TMA 량은 숙성초기에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나 마늘농도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숙성 후기에 $2\%$ 마늘농도에서 $3\%$$4\%$ 농도보다 많이 생성되었다. 미생물 변화를 살펴보면 총균수 및 fungi는 마늘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균수는 적었으나 숙성말기에는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Lactic acid bacteria는 숙성 0일에는 마늘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균수가 적었으나 숙성기간 5일 이후로는, 마늘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숙성기간이 증가할수록 그 차이는 줄어들었다. Proteolytic bacteria, psychrotroph 및 fungi는 숙성 0일에는 마늘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균수는 적었으나, 숙성기간이 증가할수록 균수는 증가하였으며, 숙성말기에 더 큰 감소경향을 나타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