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Molecular Structure of Rice Amylopectin and Texture of Cooked Rice

쌀의 아밀로펙틴 분자구조와 밥의 텍스쳐

  • Kang, Kil-Jin (Research Center for New Bio-Materials in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Kwa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g-Ko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Dankook University)
  • 강길진 (서울대학교 농업생물신소재연구센터) ;
  • 김관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 김성곤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95.02.01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wen the molecular structure of amylopectin and the texture of cooked rice was investigated using Korean rice [3 varieties of Japonica type and 3 varieties of Tongil type(Japonica-Indica breeding type)]. The molecular structure of rice amylopectin was polymodal and distributed A chain of $\overline{DP}$ 12.4, short B chain of $\overline{DP}$ 20.6, B chain of $\overline{DP}$ 26.3, long B chain of $\overline{DP}$ 45 and super long chain of above $\overline{DP}$ 55. The super long chain of amylopectin was composed of long linear chain with poorly branched chain. Also, the super long chain of amylopectin showed positive correlated with average chain length, inherent viscosity and ${\beta}-amyloysis$ limit$({\%})$, but negative correlated with ${\lambda}max$ of iodine reaction of amylopectin.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amylopectin in Japonica type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amylopectin in Tongil type. In relationship between molecular structure of amylopectin and texture of cooked rice, the average chain length, inherent viscosity, ${\beta}-amyloysis$ limit and super long chain of amylopectin wa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hardness, but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dhesiveness of cooked rice. The long chain of rice amylopectin is the less, the eating quality of cooled rice was the bett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lecular structure of rice amylopectin could be responsible for the texture of cooked rice.

밥의 식미가 다른 일반계와 통일계 쌀을 대상으로 아밀로펙틴과 그 베타-한계덱스트린의 분자구조적 특성을 조사하고 밥의 텍스쳐와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쌀 전분의 아밀로펙틴 분자구조는, 아밀로펙틴과 베타-한계 덱스트린의 사슬분포로 보아, $\overline{DP}$ 12.4의 A 사슬, $\overline{DP}$ 20.6의 짧은 B 사슬, $\overline{DP}$ 26.3의 중간 B 사슬, $\overline{DP}$ 45의 긴 B 사슬과 $\overline{DP}$ 55 이상의 초장쇄로 이루어진 polymodal이었다. 아밀로펙틴의 초장쇄는 긴 직쇄를 가진 사슬로서 아밀로펙틴의 평균 사슬길이, 고유점도, 베타-아밀라아제 분해한도와 정의 상관을 보이나 요오드 복합체의 최대흡수파장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아밀로펙틴과 베타-한계 덱스트린의 분자구조적 성질은 일반계와 통일계 쌀 시료간 차이를 보였다. 아밀로펙틴의 A 사슬에 대한 B 사슬의 비율은 일반계가 통일계 보다 약간 높았으나 초장쇄의 분포 비율은 일반계가 통일계 보다 더 낮았다. 아밀로펙틴의 분자구조와 밥의 텍스쳐와의 관계에서, 고유점도, 베타-아밀라아제 분해한도와 사슬길이 그러고 초장쇄는 밥의 경도와 정의 상관을, 부착성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밥의 식감은 아밀로펙틴의 긴 사슬이 적고 짧은 사슬이 많이 분포할 수록, 밥의 경도가 낮고 부착성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아밀로펙틴의 분자구조가 밥의 텍스쳐와 밀접한 관계가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