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of the Maxilla - Report of A Case -

상악골의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 증례보고 -

  • Oh, Yoon-Kyeong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hosun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Yeo, Hwan-Ho (Departmen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hosun University Dental College)
  • 오윤경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 ;
  • 여환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외과)
  • Published : 1995.09.01

Abstract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MFH) of the maxilla is a rare malignant bone tumor Seven percents of all MFH occur in the head and neck. Approximately $12{\%}$ of these tumors occur in the maxilla. Local recurrence or distant metastasis was reported in $55{\%}$ of cases of maxillary MFH. The mean survival time of 30 months was reported from a review of 14 MFHs in the maxilla, mandible and oral soft tissues. MFH of the maxilla is best treated surgically but radical neck dissection does not appear to be indicated unless there is clinical evidence of lymph node metastases Although the use of radiation therapy for head and neck MFH has not been studied for a series of cases, individual cases of regression or histological change have been reported. Other authors have reported numbers of cases who received radiation therapy without benefit. Response to combination chemotherapy has been reported in $33{\%}$ of 23 patients with recurrent or metastatic MFH. We report here a case of MFH occurring in the maxilla with a review of literature about the clinical behavior and treatment of these lesions.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은 상악골부위에서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서, 두경부에 발생되는 예가 전체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의 $7{\%}$ 이며 이들 $7{\%}$$12{\%}$가 상악골에 발생한다고 한다. 상악골의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은 국소재발이나 원격전이가 $55{\%}$의 환자들에서 발생하며 평균 생존기간은 상악골, 하악골 및 구강연부조직의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에 관한 연구에서 30개월로 보고되었다. 상악골의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은 일차적으로 근치적 수술요법이 주 치료방법이다. 방사선치료에 관한 보고들은 대상환자들이 적어서 지금까지 체계적으로 보고되지 않았고, 증례보고에 의한 종양의 퇴행 또는 조직학적 변화가 발표된 바 있으며 일부 저자들은 수술후 방사선치료가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재발성 또는 수술 불가능한 경우에 시행하기를 권하기도 한다. 재발성 또는 전이성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환자들에서 항암화학요법으로 $33{\%}$의 관해율을 보였다는 보고가 있다. 저자들은 상악골의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