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ysters, Crassostrea gigas, as the second intermediate host of Gymnophalloides seoi (Gymnophallidae)

참굴큰입흡충(Gymnophalloides seoi)의 제2중간숙주로서 참굴의 역할

  • LEE, Soon-Hyung (Department of Parasitology and Institute of Endemic Diease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Min-Ho (Department of Parasitology and Institute of Endemic Diease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EO, Min (Department of Parasitology and Institute of Endemic Diease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AI, Jong-Yil (Department of Parasitology and Institute of Endemic Diease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이순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풍토병연구소) ;
  • 최민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풍토병연구소) ;
  • 서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풍토병연구소) ;
  • 채종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풍토병연구소)
  • Published : 1995.03.01

Abstract

Gymnophalkides seoi has drawn medical attentions since the discovery of the first human case and a highly endemic area on a southwestern coastal island of Shinan- gun, Korea. Marine bivalves especially oysters were strongly suspected as the source of infection. In this study the oysters, Crassostrea girns, naturally produced (rom the endemic area were examined whether they contain gymnophallid metacercariae. All of 50 oysters examined were infected with the metacercaviae of a gymnophallid, with the metacercarial density per oyster of 610 on average (2-4,792 in range). Later they were identified as G. seoi by obtaining adult worms from experimental mice. The metacercariae were unencysted, and firmly attached on the mantle surface of the oysters with their oral sucker. In sectioned specimens they were equipped with the ventral pit, a peculiar organ of the genus Gymophalloides, and non-muscular genital pore which was connected dorsally to the seminal vesicle. The seminal vesicle was in a great majority mono-sac. By this stud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oyster is a 2nd intermediate host of G. seoi as well as the major source of human infection with this fluke.

우리 나라 고유의 인체 기생 장흡충 Gwmopholloides seoi Lee, Chai and Hong, 1993은 급성 췌장염 환자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신안군 도서지방에 큰 유행지가 있음이 밝혀져 의학적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지금까지 인체 감염원이 되는 제2중간숙주가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자연산 참굴(Crossoskrea gigas)이 제2중간숙주의 하나일 것으로 추정하고 신안군 유행지에서 참굴을 채집한 후 gniulophallid metacercariae에 감염되어 있는지 조사하였다. 조사한 참굴 50마리 모두에서 glrnnophallid metacercariae가 발견되어 100%의 감염률을 보였고. 참굴 1마리 당 평균 610개(개체당 2-4.792개)의 감염량을 보였다 충체의 종은 추후 마우스 감염 실험을 통하여 G. seoi로 동정할 수 있었다. 유충(metacercariae)은 낭을 가지고 있지 않았고, 구흡반으로 참굴의 외투막(mantle surface)을 흡착하고 있었으며, 참굴의 절편 표본에서 참굴큰입흡충 속의 특징 중 하나인 복측흡(ventral pit)이 관찰되며. 복흡반 전방에 근육질이 아닌 생식공이 있고 저정낭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저정낭은 대부녁의 충체에서 단낭성(mono-sac)이어서 유일한 다른 종인 G. toiensis가 이낭성(bipartite) 저정낭을 가진 것과는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참굴이 G. seoi의 제2중간숙주이며 동시에 가장 중요한 인체 감염원일 것으로 판단하였고, 이 흡충의 우리말 이름을 참굴큰입흡충으로 제안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