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ants of Health Service Utilization of Urban Health Center

도시 보건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의 결정요인

  • 강복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경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천태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5.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utilization of urban health center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the urban residents. The survey was carried out for 2,394 households in Taegu and Kyongju by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28 March to 4 April and from 2 July to 9 July, 1994. Well trained interviewers visited 2,630 households in Taegu and Kyongju, and interviewed with housewives. Of the target households, 91.0%(2,394 households) were responded through three-time visiting. The major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fourth and fifth decad utilized the health center more frequently than any other age groups.. The lower income group showed higher rate of health center utilization than those in higher income group in Taegu City. The mean length of residence among residents of Kyongju City is longer than those of Taegu City, and the longer length of residence, the higher rate of the health center utilization. Those who are living together with neonate and infant or elderly people showed higher rate of health center utilization than those who are living without neonate and infant or elderly people in both Taegu and Kyongju. The most common reason for visiting the health center was 'low cost'. The major reasons for not visiting the health center were 'not regular customer', 'poor health center facility', and 'low quality of care'. Vaccination, communicable disease control, outpatient care, public hygiene, maternal and child health program were well recognized as health center activities. In logistic regression for the utilization of health center, the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were length of residence and recognize the site of health center in both Taegu and Kyongju.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health service, physical environment of health center and public relations on health center's activities shoulod be considered for reactivation and reingorcement of health center functions.

Keywords

References

  1. 보건소체계의 발전 방향에 대한 토론회 연제집 김용익
  2. 최근의 인구동향에 관한 종합분석 김응석;이상헌;김승권;유성은
  3. 보건행정학회지 v.4 no.1 지방자치제에서의 도시보건소 기능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진삼;박형종;김공현;김병성
  4. 도시1차보건의료사업운영 개선연구 김진순;유효신;김은주;조홍식;고경환
  5. 보건학논집 v.42 포괄적 보건의료사업을 위한 보건소 모형개발 김정순;양봉민;김화중;이시백;홍재웅
  6. 보건학논집 v.29 no.1 우리나라 보건소 기능 활성화 방안의 모색 문옥륜
  7. 최근의 인구동향에 관한 종합분석 문현상;변용찬;송위섭;윤종주;전학석;정기원
  8. 우리나라 빈곤화 요인 분석과 대책방향 박순일;함시창;이필도;김미곤;이성기;문병윤
  9. 도시 보건소 활성화를 위한 워크陜 보고서 도시보건소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 박윤형
  10. 도시 보건소 활성화를 위한 워크陜 보고서 만성퇴행성질환 관리를 위한 보건소 기능강화 방안 배상수
  11. 2000년대를 향한 도시보건소의 조직 및 기능개선연구 변종화;장동현;정기혜;조홍식;고경환
  12. 의료비증가억제 방안 연구 -수요자의 행태분석을 중심으로- 변종화;장동현;최성옥;이준협
  13. 한국농촌의학회지 v.19 no.2 일부 농촌지역 주민의 보건소 이용양상과 관련 요인 손석준
  14. 1992년도 국민건강 및 보건의식행태조사 -국민건강조사결과- 송건용;남정자;최정수;김태정
  15. 의료이용과 건강행위에 관한 종합분석 송건용;박현애;이순영;김태정
  16. 보건주보 -지방화시대와 보건소의 역할- 송건용
  17. 공중보건잡지 v.9 no.2 보건소 이용도에 관한 조사 송선대
  18. 도시지역 보건의료체계 연구개발 사업을 위한 기초조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19. 예방의학회지 도서지역주민의 의료이용양상과 그 결정요인 유승흠;조우현;박종연;이명근
  20.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보건소 인력, 예산 및 사업 비교 이재무
  21. 도시보건소 직원의 보건소 업무에 대한 인식 및 견해 이재무
  22. 지방화에 따른 보건소기능 및 행정체계개선 연구 임종권;김혜련;장동현;김흥식
  23. 공공보건의료 기능활성화를 위한 지역보건의료체계 확대방안 연찬회 보고서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24. 우리나라 농촌 공공보건의료의 개혁방안 한림대학교 사회의학연구소
  25. 한국농촌의학회지 v.18 no.1 농촌지역 주민들의 보건의료원 이용양상과 관련 요인 황병덕;박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