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emical Composition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mb) Leaf Tea

감 (Diospyros kaki, Thumb) 잎차의 화학 성분

  • Published : 1995.10.01

Abstract

Chemical components relevant to the characteristic taste of the Korean native persimmon(Diospyros kaki, Thumb) leaf tea were analyzed. Samples were processed by using three different methods ; SHT(steamed and then hot-air dried), DHT(dried in the shade, steamed and then hot-air dried) and RHT(roasted and then hot-air dried). The components analyzed were general compositions of dried perisimmon leaves and extracted solution. The composition of moisture, ash, crude lipid and total nitrogen did not show significant variation among different processing methods of the persimmonleaf tea. The contents of caffeine, tannin and vitamin C in persimmon leaf tea were in the range of $178.4~209.8{\mu}mol/g$, 29.1~38.5mg% and 325.3~2084.7mg%, respectively. The vitamin C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HT than other treatments. The contents of caffeine, tannin and vitamin C in the tea extracted solution were in the range of $101.5~130.1{\mu}mol/g$, 15.4~25.9mg% and 111.0~1274.3mg%, respectively. The vitamine C in the tea solution was the highest in the RHT treatment and 61.1% of vitamin C in the leaf tea was extracted out in these processing methods. The major amino acids contained in the leaf tea were in decreasing order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and phenylalanine, these four amino acids consisting 38.9~39.8% of the total amino acid contained in the persimmon leaf tea. The major amino acids contained in the tea solution were glutamic acid, proline, histidine and arginine. Six kinds of 5'-nucleotides, CMP, AMP, UMP, IMP, GMP and hypoxanthine were detected and CMP was the most abundant component in fresh leaf, leaf tea and tea solution. The second highest 5'-nucleotides in both leaf tea and tea solutions were GMP, AMP and UMP in all processing method. The highest free sugar contained in the fresh leaf tea and tea solution was sucrose.

녹차와 더불어 시판되고 있는 감잎차의 제조방법을 기존 제차공정과 달리할 경우 차의 성분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또 이들 성분과 품질과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감잎차의 제조 방법을 달리하여 카페인, 탄닌, 비타민 C, 핵산관련 물질, 유리당 및 구성 아미노산을 분석 비교하였다. 차엽의 수분은 6.9~7.0%, 회분은 8.3~9.0%, 조지방은 6.1~6.9%였다. 전질소의 함량은 3.4~4.8%, 차엽의 카페인 함량은 $178.4~209.8{\mu}mol/g$, 탄닌 함량은 29.1~38.5%, 비타민 C는 325.3~2084.7mg%로서 RHT가 2084.7mg%로 그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찻물의 경우 카페인의 함량이 $101.5~130.1{\mu}mol/g$, 탄닌의 함량이 15.4~25.9mg%였으며, 비타민 C는 111.0~1274.3mg%로 차엽과 마찬가지로 RHT에서 1274.3mg%으로 다른 차에 비해 아주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찻물의 용출율은 51.1%였다. 차엽의 구성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및 phenylalanine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고, 이들 4종이 아미노산이 총 아미노산에 대하여 SHT는 39.8%, DHT는 38.8%, RHT는 39.1%였으며, 이중에서도 특히 함량이 높은 것은 glutamic acid(10.9~12.9 mg%)였다. 찻물의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은 차엽과 마찬가지로 glutamic acid가 가장 높았고, 다음이 proline, histidine 및 arginine 순이었다. 핵산관련 물질(CMP, IMP, AMP, UMP, GMP, hypox-anthine)의 함량은 생엽 $119.2{\mu}mol/100g$, 차엽 및 찻물 모두에서 CMP의 함량이 많았다. 차엽 중에서 CMP 다음으로 함량이 높은 것을 보면 SHT에서는 GMP, DHT는 AMP, RHT는 UMP였으며, 찻물의 경우도 역시 차엽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의 함량은 생엽의 경우 sucrose의 함량이 $85.2{\mu}mol/100g$으로 가장 높았고, SHT, DHT 및 RHT에서 모두 fructose의 함량이 높았으며, 찻물 역시 차엽과 마찬가지로 sucros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化學敎育 v.29 茶の風味と生理效果 山西頁
  2. 상주농업전문대논문집 v.21 枾葉성분에 관한 연구 김진구;김광수
  3. 상주농업전문대학논문집 v.23 枾葉차의 제조방법이 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차원섭;김광수
  4. 한국영양식량학회지 v.12 차 제조중의 주요 성분의 화학적 변화 김창목;최진호;오성기
  5. 茶業硏究報告 no.64 荒茶製造ユ程ぢける茶葉の理化學性の變化 高柳博次;阿南豊正
  6. 영주경상전문대학논문집 v.4 枾葉을 이용한 차제조에 관한 연구 김광수
  7. 日本茶業硏究報 v.71 茶の分析法 池谷貿次郞;高柳博次;阿南豊正
  8. Food Chemistry Owen,R.F.
  9. 日食工誌 v.20 茶のスクレオチドた關する硏究 今川弘;瀧野慶則;淸水正夫
  10. 日本農藝化學會誌 v.35 5'-りボスクレオチドの食品化學化硏究 中島宣郞;市川恒平;鎌田致喜;藤田榮一郞
  11. 日食工誌 v.21 室素分析たよる煎茶の品質評價 中川致之;天野いね
  12. Adv. Food Res. v.11 The chemistry of the tea and tea manufacturing Chichester,C.O.;Mart,E.M.;Stewart,E.M.
  13. 한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국산 야생녹차의 품질에 관한 종합적 연구 신미경
  14. Chem. Abstr. v.51 Nutritional value of Tea leaves using the process of green tea manufacture lwamoto,K.;Hayashi,J.;Takao,K.
  15. J. Sci. Fodd. Agr. v.9 Chemistry of the tea manufacture Roberts,E.A.H.
  16. J. Agr. Chem. Soc. v.31 Free amino acds in tea Ⅳ. Quantitative changes in the manufacture of black tea and green tea Nagashima,Z.;Nakagawa,M.;Tokumura,H.;Toriumi,Y.
  17. 茶業試驗場 硏究報告 v.17 綠茶の味理化學性の變化と化學成分との關係 中川致之;阿南豊正;石間紀男
  18. 日食工誌 v.18 綠茶 浸出液中のフ:ノ酸類と味評價との關係たついて 加可郞;金木品直
  19. 茶業硏究 no.45 茶のアミノ酸類の自動分析法 久保田郞;中川致之
  20. 日食工誌 v.22 綠茶 の構成味要素た對する成分の貢獻度 中川致之
  21. 日本農藝化學會誌 v.34 核酸關聯物質の呈味作用た關する硏究 國中明
  22. 식품과학과 산업 v.22 하눅산 녹차의 특성 식품과학과 산업 신미경
  23. 경상대학교 대학원논문집 v.3 죽로차의 화학성분 강동희;정승용
  24. 日食工誌 v.23 茶 のヌクレオチドた關する硏究 瀧野慶則;今川弘;央戶和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