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in Nutrient Intakes Analysed by Using Food Frequency and Recall Method

빈도법과 회상법에 의한 영양소 섭취 평가의 차이

  • 김영옥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95.12.01

Abstract

Nutrient intake data collected by both dietary methods of the 24 hour recall method and the food frequency method from 538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sed to investigate any measurement errors occuring while using these methods. Measurement errors were observed both in terms of differences of average intake and consistancy from the two sources of data used. Wilcoxon signed ranks test was used to tes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verage intakes and Speraman's rank order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test consistancy. As a result, average intake value estimated from the food frequency method tended to be higher than that from the 24 hour recall method. The degree of overestimation varies from one nutrient to another. For instance, carotene showed not only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average intake but also showed the most incoisistancies between the two sets of data. This may imply the validity of nutrient intake as derived from different dietary survey methods varied from one nutrient to another, therefore the selection of dietary survey methods has to be made more cautiously in the case of certainnutrients.

회상법과 빈도법을 이용하여 식이섭취조사를 할 경우 영양소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모든 영양소에서 빈도법이 회상법 보다 개인의 섭취량이 과다하게 평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영양소별 측정 오차가 식이조사 방법에 따라 가장 큰 차이를 보였던 영양소는 carotene이었고 이 영양소는 두 방법에 의해 추정된 값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있는 상관을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는 연구 목적이 되는 영양소의 종류에 따라 식이조사 방법으로 히상법과 빈도법을 교차 선택할 수 있는영양소와 그렇지 않은 영양소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각 방법이 지니는 상대적 타당성(validity)를 측정하는데 필요한 표준가치(reference value)가 없으므로 타당성을 측정할 수 없었고 단지 두 방법간의 차이만을 비교하는데 그치는 제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사용된 방법의 타당성 측정을 위해서는 표준값을 제공할 수 있는 객관적인 방법인 실측법(precise weights method) 등이 비록 적은 표본 규모라도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 한편, 더 나아가 조사방법의 신뢰도 측정을 위해서는 정확성(precision)을 보기 위해 한 방법을 여러번 반복 조사하여야 방법의 정확성 등이 검토될 수 있겠다. 이러한 기초연구를 위한 많은 투자와 노력이 있어야만 역학조사에서 이용된 식이조사 방법의 신뢰성 확보가 가능함을 본 연구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Am. J. Epidemiol. v.110 Diet and serum cholesterol. Do zero correlation negate the relationship? Jocobs,D.R.;Anderson,J.T.;Blackburn,H.
  2. Am. J. Clin. Nutr. v.47 Methodologic consideration for investigating the diet-cancer link Hebert,J.R.;Miller,D.R.
  3. Nutritional epidemiology Walter,W.
  4. Manual on methodology for food consumption studies Margarete,E.C.;Wija,A.;Van,S.
  5. 한국영양학회지 v.25 국내 영양조사(1960-1990년)에서 적용된 영양평가 방법의 내용 및 추이분석 최영선;박명희
  6. 한국영양학회지 v.27 식품눈대중량 퍼지데이타의 처리방안에 관한 연구 김명희;박순옥
  7.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측량 기록법에 의한 영양소 섭취량의 개인간변이와 개인내 변이에 관한 연구 정해랑
  8. 식품섭취실태 조사를 위한 식품 및 음식의 눈대중량 한국식품공업협회;한국식품연구소
  9.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회상법, 기록법 및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여대생들의 영양섭취 패턴에 관한 연구 이혜영
  10. 국민영양 조사방법 개선방안 연구(III)-식품소비형태파악 한국식품공업협회;한국식품연구소
  11. 식품성분 제 4 개정판 농촌진흥청
  12. J. Am. Diet. Assoc. v.72 Comprehensive evaluation of fatty acids in food. I-XIII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3. J. Am. Diet. Assoc. v.86 Prosional tables on the content of $\omega$-3 fatty acid and other components of selected foods Hepburn,F.N.;Exler,J.;Wehrauch,J.L.
  14. An untroduction to statistical method & data analysis (2nd ed.) Lyman,O.
  15. J. Res. v.86 Methods to assess relative reliability of diet records, Minimum records for monitoring lipid and calorie intake Jackson,B.;Dujovne,C.A.;Decoursey,S.;Beyer,P.;Brown,E.F.;Hassanein,K.
  16. 한국영양학회지 v.22 식사섭취 조사방법의 비교연구 김혜영;윤진숙
  17. NIH workshop on nutrition and hypertension-proceeding from a symposium Estimating dietary salt intake Luft,F.C.
  18. 한국영양학회지 v.26 농촌 국민학교 아동의 혈암, 짠맛에 대한 역치, 적염미도, 뇨중 배설성분 및 혈압에 관한 영양지식 김은경;유미연;전경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