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zation of Structure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TiO_2$Thin Films Deposited by MOCVD

화학기상증착법에 의한$TiO_2$박막의 구조 및 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최상준 (금성일렉트론 반도체 제 8연구실) ;
  • 이용의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무기재료공학과) ;
  • 조해석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무기재료공학과) ;
  • 김형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무기재료공학과)
  • Published : 1995.02.01

Abstract

$(TiO_{2})$ thin films were deposited on p-Si(100) substrate by APMOCVD using titanium isopropoxide as a source material. The deposition mechanism was well explained by the simple boundary layer theory and the apparent activation energy of the chemical reaction controlled process was 18.2kcal /mol. The asdeposited films were polycrystalline anatase phase and were transformed into rutile phase after postannealing. The postannealing time and the film thikness as well as the postannealing temperature also affected the phase transition. The C-V plot exhibited typical charateristics of MOS diode, from which the dielectric constant of about 80 was obtained. The capacitance of the annealed film was decreased but those of the Nb or Sr doped films were not changed. I-V characteristics revealed that the conduction mechanism was hopping conduction. The postannealing and the doping of Nb or Sr cause to decrease the leakage current and to increase the breakdown voltage.

Titanium oxide$(TiO_{2})$ 박막을 금속 알콕사이드 물질인 $(Ti(OC_3H_7)_4$(titanium isopropoxide)를 이용하여 p-Si(100) 기판위에 상압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증착시켰다. $(TiO_{2})$ 박막의 증착기구는 단순경 계층 이론으로 잘 설명되었으며, 화학반응 지배 기구 영역에서 겉보기 활성화 에너지는 18.2kcal/mol이었다. 증착된 박막은 $250^{\circ}C$이상에서 anatase상의 결정질 박막이었으며, 고온에서 열처리를 했을 경우에 rutile상으로 전이하였다. 박막의 상전이에는 열처리 온도외에도 열처리 시간과 박막의 두께가 영향을 미쳤다. 정전용량-전압특성을 조사해 본 결과 전형적인 MOS 다이오드구조의 특성을 보였으며, 비유전율 상수는 약 80정도였다. 제조한 $(TiO_{2})$ 박막의 열처리 공정 후에는 정전용량이 감소하였으며, 첨가물을 사용한 박막은 열처리 전과 같았다. 이때 $V_{FB}$는 -0.5 ~ 1.5V였다. 전기전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류-전압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증착된 박막의 전도기구는 hopping mechanism이었다. 전기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후열처리 방법과 박막 증착시 Nb, Sr을 첨가하였으며, 모두 누설전류의 감소와 정전파괴전압의 증가를 가져왔다.

Keywords

References

  1. Jpn. J. Appl. Phys. v.25 no.9 T. Fuyuki;H. Matsunami
  2. Jpn. J. Appl. Phys. v.7 M. Yokazawa;H. Iwaza;I. Teramato
  3. J. Electrochem. Soc. v.137 no.3 K.L. Siefering;G.L. Griffin
  4. J. Electrochem. Soc. v.135 no.1 T. Fujki;T. Kobayashi;H. Matsunami
  5. J. Kor. Ceram. Soc. v.27 no.4 C.S. Hwang;H.J. Kim
  6. J. Appl. Phys. v.59 no.10 L.S. Hsu;R. Rujkorakarn;J.R. Sites;C.Y. She
  7. J. Mater. Sci. v.4 Sharma S.K.
  8. J. Phys. Chem. Sol. v.46 no.5 V. Damodara Das;D. Karunakaran
  9. Appl. Phys. Lett. v.46 no.15 M.F. Yan; W.W. Rhodes
  10. J. Mater. Sci. v.23 J.M. Wu;C.J. Chen
  11. J. Appl. Phys. v.60 no.12 K. Kobayashi;M. Takata;Y. Fujimura;S. Okamoto
  12. J. Appl. Phys. v.33 no.12 L.E. Hollander
  13. J. Am. Ceram. Soc v.54 no.10 S.A. L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