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초태 실소 의 보리 근권토양내 동적 변화와 $N_{min}$ 토양진단법에 의한 과정 실소추식량 결정

Dynamics of $NO_3^{-}$-N in Barley Rhizosphere and Optimum Rate of Nitrogen Top- Dressing Based on $N_{min}$ Soil Test

  • 손상목 (단국대학교 농과대학 국제농업개발학과) ;
  • 큐케마틴 (독일연방농업연구센타 식물영양토양연구소) ;
  • 한인아 (단국대학교 농과대학 국제농업개발학과)
  • 발행 : 1995.04.01

초록

겨울보리 재배 시 질소시비 수준를 달리한 0~30cm, 30~60cm, 60~90cm 근권깊이별 $NO_3^{-}$-N 함량의 경시적 동적 변화를 추적하고 이를 토대로 시료채취 근권깊이를 달리하는 몇몇 토양진단법에 의한 적정 추비량 결정의 국내 적용의 적절성 여부를 검토한 결과, 1 기비 및 추비로 시용된 질소가 표토층으로부터 서서히 심층 하층토로 용탈, 집적되고 있었는데 이는 근권깊이별 $NO_3^-$-N 농도보다 $NO_3^-$-N 함량을 계산할 때에 더욱 명확하였다. 2. 추비직전인 2월말 0~90cm 근권층에서의 $NO_3^-$-N 함량은 기비로 시용한 질소시용 량에 따른 토양내의 $NO_3^-$-N 함량도 비례하여 높아져 기 비 시 용량 차이 가 데 체로 반영 하였으나 0~30cm 근권상층부에서의 $NO_3^-$-N 함량은 기비시용량을 전혀 반영시켜 주지 못하였다. 추비시용 이후의 토양깊이별 $NO_3^-$-N 함량의 경시적 차이 역시 0~30cm에 비해 0~90cm 근권층에서 질소시비량간 차이가 뚜렷하였다. 3. 0~90cm 근권깊이의 $NO_3^-$-N 함량에 따라 질소추비량을 결정하는 $N_{min}$- method에 의해 계산된 질소추비량은 무비구, 보비구, 배비구에서 기비시용량이 많을수록 질소추비량은 80.6, 40.0, 10.1kg/ha로 낮았으며, 보비 구의 경 우 질소추천추비량 60kg/ha보다 20kg/ha 정도 낮았다. 한편 0~30cm 토양진단에 따른 질소추비량은 각 처리구에서 추천시비량의 1차 질소추비량과는 비슷하여 기비처리 수준에 따른 질소추비량 차이가 전혀 없었다. 4. 0~30cm, 0~60cm, 0~90cm 근권 $NO_3^-$-N 함량과 수량과의 관계를 비교한 결과 0~90cm근권 $NO_3^-$-N 함량만이 수량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 $N_{min}$ 토양진단법이 적절하였다. 한편 0~90cm 근권 $NO_3^-$-N 함량이 120kg/ha일 때 수량이 최고에 도달하였다.

The prevention of excessive use of nitrogen fertilizer get an attention in Korea not only for minimizing $NO_3^-$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but also for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friendly sustainable agriculture. In order to find out the dynamics of $NO_3^-$ in barley rhizosphere and its suitability for nitrogen fertilization strategies and for environmental control, the accumulation of $NO_3^-$ in 3 layer, 0~30cm, 30~60cm, 60~90cm of soil profile has been detected in winter barley pro-duction system. It showed the recommended N fertilization rate for winter barley cause the $NO_3^-$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through $NO_3^-$ leaching during winter. The $NO_3^-$ content of 0~90cm soil depth have directly reflected the amount of basal N fertilization in the early spring, but not 0~30cm and 0~60cm soil depth. The contents of $NO_3^-$ measured to 0~30cm, 0~60cm soil depth were not significanly correlated with yield but the contents of $NO_3^-$ measured to 90cm soil depth was highly correlated with yield. Nitrogen fertilizer requirement could be estimated accurately by soil test and it provides field specific N rate recommendation for spring N application to winter barley. It was concluded that $N_{min}$ method could be applied to korean climatic and soil condition for optimal fertilizer application rat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