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망에서 삼자회의를 위한 음성 부호화기의 성능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Performance Study of Speech Coders for Three-Way Conferencing in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Lee, Mi-Suk (Depart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Engineering, KAIST) ;
  • Lee, Yun-Geun (Depart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Engineering, KAIST) ;
  • Kim, Gi-Cheol (Depart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Engineering, KAIST) ;
  • Lee, Hwang-Su (Depart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Engineering, KAIST) ;
  • Jo, Wi-Deok (Telecommunication Components Lab, KETI)
  • 발행 : 199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이동통신망에서 신호 가산방식을 이용한 삼자회의에서의 음성 부호화기 성능을 평가하였다. 두 사람의 섞인 목소리가 다른 회의 참가자에게 전달되는 신호 가산방식은 가장 자연스러운 삼자회의 방식이지만, 아직까지 두 사람의 섞인 목소리를 부호화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은 없다. 본 논문에서는 삼자회의에 신호 가산방식을 적용하기 위해 QCELP, VSELP, RPE-LTP 보코도를 구현하여 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두 화자의 목소리가 섞인 음성신호에 대한 부호화기의 성능평가를 위해 기존의 음질 평가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주관적 평가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문장 식별법(SD)과 수정된 DMOS(MDOMS) 방법이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VSELP 보코더의 출력음질이 다른 두 보코더에 비해 좋게 나타났다.

In this paper,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vocoders for three-way conferencing using signal summation technique in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signal summation technique yields natural mode of three-way conferencing, in shich the mixed voice signal from two speakers are transmitted to a third person, though there has been no useful speech coding technique for the mixed voice signal yet. We established Qualcomm code term prediction (RPE-LTP) vocoders to provide three-way conferencing using signal summation techinique. In addition, as the conventional speech quality measures are not applicable to the vocoders for mixed voice signals, we proposed two kinds of subjective quality measures. These are the sentence discrimination (SD) test and the modified degraded mean opinion score (MDMOS) tes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output speech quality of the VSELP vocoder is superior to other two.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