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rtening of Breeding Cycle by Forced Flowering in Forest Trees I. Induction of Flowering by Cultural Treatments in Seedlings and Grafts of Betula pendula Roth and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Hara

개화유도(開花誘導)에 의한 임목육종(林木育種)싸이클의 단축(短縮) I. 자작나무와 은자작나무 유묘(幼苗)에 있어서 재배환경(栽培環境) 조절(調節)에 의한 개화유도(開花誘導)

  • Received : 1995.07.31
  • Published : 1995.12.31

Abstract

Seedlings and grafts of Betula pendula and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were grown under partially controlled environments in a greenhouse and in a plastic-greenhouse installed inside a laboratory. Plant growth conditions such as photoperiod, temperature, nutrient supply were partially controlled to enhance the vegetative and reproductive growth of the birch seedlings and grafts. By the treatments twenty and seventy one percents of the seedlings, respectively, for the Betula pendula and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developed visible floral organs between 250 to 508 days after seeding. By the same treatments eighty and fifty three percents of the grafts, respectively, for Betula pendula and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developed visible male catkins between 51 to 497 days and female catkins between 365 to 396 days after grafting. Breeding cycle of birch species can be reduced to a great extent by the induction of precocious flowering at early stages of seedling and graft development.

자작나무 및 은자작나무 종묘(種苗)와 접목묘(接木苗)의 영양생장(營養生長)과 생식생장(生殖生長)을 촉진(促進)시키기 위하여 온실(溫室)과 실험실에 설치된 비닐하우스 내(內)에서 일장(日長), 온도(溫度), 습도(濕度), 양분공급(養分供給) 등을 부분적(部分的)으로 조절(調節)하여 촉성재배(促成栽培) 처리(處理)를 하였다. 이와 같은 생장촉진(生長促進) 처리(處理)에 의해 자작나무와 은자작나무는 파종(播種) 후(後) 250-508일 사이에 각각 71% 및 20%의 유묘(幼苗)가 암꽃 또는 수꽃을 형성(形成)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자작나무와 은자작나무는 접목(接木) 후(後) 51일 내지 497일 사이에 각각 53%와 80%의 접목묘(接木苗)가 수꽃을 발육(發育)시켰으며 암꽃이 발육(發育)을 시작하기까지는 365일 내지 396일이 소요(所要)되었다. 유묘(幼苗)에 대한 생장촉진(生長促進) 처리(處理) 의해 단기간(短期間) 내(內) 개화유도(開花誘導)에 성공(成功) 함으로써 임목(林木)의 개량(改良)을 위한 육종(育種) 싸이클과 신품종(新品種)의 종자(種子) 생산 기간(期間)을 획기적(劃期的)으로 단축(短縮)시킬 수 있는 계기(契機)를 마련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