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가지 인공토양에서 사육한 Lumbricus rubellus와 Eisenia foetida의 성장인자의 차이

A Comparison of Growth and Reproduction of Lumbricus rubellus and Eisenia foetida Cultured in Three Kinds of Artificial Soil Substrates

  • 이성규 (한국화학연구소 안전성연구부)
  • Lee, Sung-Kyu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 발행 : 1995.04.30

초록

육상생태계에서 농약 및 일반화학물질의 환경생태독성을 평가할 때, 중요 항목으로 지렁이(earthworm)에 대한 독성시험 자료가 필요하다. 그런데 국내에서 지렁이 독성시험을 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점은, 독성시험을 목적으로 사육하는 지렁이가 없어, 결과의 신뢰성에 다소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독성시험에 사용하는 종인 Lumbricus rubellus, Eisenia foetida를 실험실에서 사육할 수 있도록, 사육배지의 조성을 달리하여 성장인자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사육배지는 OECD Guideline에서 제시한 인공토양을 기본으로 하여(인공토양 Ⅰ), 조성을 달리한 인공토양 Ⅱ와 Ⅲ을 사용하였고, 먹이는 같게 공급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렁이 생체량은 L. rubellus의 경우, 인공토양Ⅰ에서 가장 양호하였고, E. foetida는 인공토양 Ⅰ과 Ⅱ에서 양호하였으므로, 이 두종을 함께 사육하는 경우는 인공토양 Ⅰ의 조성을 가진 배지에서 사육하는 것이 생체량의 증가면에서는 유리할 것이다. 2) 누적난포(cocoon) 생산량은 두종 모두 인공토양 Ⅰ에서 가장 많았고, L. rubellus는 E. foetida에 비하여 약 3배 많이 생산하였으므로, 본 실험에서의 사육조건은 L. rubellus에게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3) 누적치사율은 모든 처리 토양에서 두종 모두 10% 이하로 낮았다. 4) 난포당 부화된 지렁이 수는 $1.5 {\sim} 2.3$ 마리로 종간 및 토양처리에 따른 차이에 크지 않았다. 따라서 위의 두종을 실험실에서 사육하는데는 L. rubellus의 경우 인공토양 Ⅰ의 배지로 해서, 현재의 먹이를 공급해 주면, 비교적 잘 사육할 수 있으나, E. foetida의 경우는 사육배지뿐만 아니라, 먹이에 대한 문제도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The standardization of test procedures and reproducibility of the toxicity data are prerequisite for the toxicity testing with the earthworm culturing in the laboratory. No in-depth study on culturing conditions of earthworms has been conducted in Korea, even of massive cultural practice is common for composting and production of biochemicals. The earthworms, Lumbricus rubellus and Eisenia foetida, were cultured in three kinds of artificial soil substrates(I, II and III) based on the OECD Guideline, which consist of different ratios of components (sand, sphagnum peat and kaolinite), and fed with a mixture of grain powders. During the period of culturing, the body weight and reproduction parameters were measured. L. rubellus showed the best results for increasing body weight and cocoon production in the artificial soil substrate(I) compared with E. foetida. The cocoon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high in both species cultured in the artificial soil substrate(I) among the three kinds of soil substrates, but the cumulative cocoon production of L. rubellus was 11 cocoon per worm compared with 3.7 cocoons per worm of E.foetida. L. rubellus, therefore, was more prolific than E. foetida in these culture schemes. The cumulative mortality in both species was less than 10%, and the number of juvenile worms per cocoon ranged from 1.5 to 2.3 and thus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s with soil substrates or species. From these data, the culture of L. rubellus in the laboratory could be standardized, but for E. foetida, further study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optimal growth conditions in the laborator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