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hibitory effect of physiological pattern of testosterone on luteinizing hormone secretion in sheep

면양에서 생리적 분비형태의 테스토스테론이 황체형성호르몬의 분비 억제에 미치는 효과

  • 임태진 (상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박경식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 Received : 1995.02.25
  • Published : 1995.04.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 of physiologically pulsatile pattern of testosterone(T) on luteinizing hormone(LH) in wethers. To do this, 3 separat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fusion rates and patterns needed to produce normal T secretory profiles found in intact rams were established in Experiment 1, the time-course of the suppressive effect of T on circulating LH concentrations was determined in Experiment 2, and the effectiveness of a pulsatile versus a constant pattern of T to suppress LH secretion in wethers was compared in Experiment 3. In Experiment 1, three different doses(25, 50 or $100{\mu}g$) of T were injected intravenously to animals to do pharmacokinetic analysis of T. Elimination rate constant, volume of distribution, and total body clearance of T averaged $0.18min^{-1}$, 0.531/kg BW, and 0.091/min/ kg BW, respectively. In Experiment 2, three different doses(192,384, or $768{\mu}g/kg/24h$) of T were infused at 4h intervals for 3 days into animals to evaluate the time course of the inhibitory effect of T on mean LH concentration. As duration of T infusion increased, mean LH concentrations gradually reduced. Mean LH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at day 2 or day 3 than at day 0. However, mean LH concentrations did not differ between day 0 and day 1 or between day 2 and day 3. In Experiment 3, animals were subjected to two different intravenous infusion regimens for 3 days: constant T($768{\mu}g/kg/24h$) and pulsatile(one pulse every 4h) T($768{\mu}g/kg24h$).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10-min intervals for 4h both prior to infusion and during the last 4h of the infusion. Mean LH was more suppressed(p=0.045) by constant T than by pulsatile T. LH pulse amplitude was not affected by constant T or pulsatile T. LH interpulse interval was increased more(p=0.034) by constant T than pulsatile T.

본 연구의 목적은 거세한 숫양에서 테스토스테론의 생리적인 주기적 분비형태가 황체형성호르몬의 분비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3개의 서로 다른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정상적인 숫양에서 관찰되는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방식과 동일한 분비형태를 인위적으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테스토스테론의 주입비율과 분비형태를 얻기 위하여 3가지 다른 양(25, 50 그리고 $100{\mu}g$)의 테스토스테론을 정맥에 주입시켜 테스토스테론의 약리동력학을 분석한 결과, 테스토스테론의 평균 제거율상수, 분포용적, 그리고 총 체청소율은 각각 $0.18min^{-1}$, 0.531/kg, 그리고 0.091/min/kg 이었다. 실험 2에서는 테스토스테론의 처리 시간의 경과에 따른 테스토스테론의 황체형성호르몬 평균 농도의 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3가지 다른 분비율(192, 384 그리고 $768{\mu}g/kg/24h$)의 테스토스테론을 주기적으로(4시간 간격) 3일 동안 정맥에 주입시킨 결과, 테스토스테론의 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혈액 내 황체형성호르몬의 평균 농도는 서서히 감소하였다. 테스토스테론을 2일 또는 3일간 처리하였을 때는 테스토스테론을 처리하기 전에 비해 황체형성호르몬의 평균 농도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테스토스테론의 1일간 처리는 황체형성호르몬의 평균 농도를 감소시키지 못하였다. 실험 3에서는 두 가지 다른 분비 형태(지속적 분비 형태와 주기적 분비 형태)의 테스토스테론의 황체형성호르몬의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조사하였다. 지속적 분비형태를 만들기 위하여 테스토스테론을 3일간 지속적으로($32{\mu}g/kg/h$) 정맥 주입시켰고, 주기적 분비 형태를 만들기 위하여 테스토스테론을 4시간 간격으로 3일간 주기적으로($128{\mu}g/kg/h$) 정맥 주입시켰다. 지속적 방법과 주기적 방법 간에 동일한 양($768{\mu}g/kg/h$)의 테스토스테론이 주입되었다. 혈액은 테스토스테론의 정맥 주입전 4시간 동안과 3일간 정맥 주입 기간 중 마지막 4시간 동안 각각 10분 간격으로 경정맥에서 채취하였고, 황체형성호르몬과 주입된 테스토스테론의 혈액 내 농도는 각각의 방사성면역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황체형성호르몬의 펄스 간격(p<0.034)과 황체형성호르몬의 평균 분비량은(p<0.045) 주지적 방법 보다 지속적 방법의 테스토스테론의 주입에 의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황체형성호르몬의 펄스 분비량은 주기적 방법과 지속적 방법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숫양에서 지속적 방법의 테스토스테론이 주기적 방법의 테스토스테론의 보다 황체형성호르몬의 분비를 저하시키는데 보다 더 효과적임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