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Aspects of Bacteremia in Medical and Surgical Intensive Care Units

내과 및 외과계 중환자실 환자 균혈증의 임상적 고찰

  • Kim, Eun-O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Lim, Chae-M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Lee, Jae-Ky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Mung, Sung-J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Lee, Sang-D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Koh, Youn-Suc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Kim, Woo-S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Kim, Dong-S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Kim, Won-D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Park, Pyung-Hwan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Choi, Jong-Moo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Pai, Chik-Hyun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김은옥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임채만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이재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명승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이상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고윤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김우성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김동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김원동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박평환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마취과학교실) ;
  • 최종무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마취과학교실) ;
  • 배직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임상병리과학교실)
  • Published : 1995.08.31

Abstract

Background: Intensive care units(ICUs) probably represent the single largest identifiable source of infection within the hospital. Although there are several studies on ICU infections in respect to their bacteriology or mortality rate for individual types of ICU, few studies have compared ICU infections between different types of ICU.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linical differences in bacteremia between medical ICU(MICU) and surgical ICU(SICU) patients. Methods: 256 patients with bacteremia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to obtain the clinical and bacteriologic informations. Results: 1)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ith bacteremia of MICU($58.6{\pm}17.2\;yr$) was greater than that of all MICU patients($54.3{\pm}17.1\;yr$)(p<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ICU patients(patients with bacteremia of SICU: $56.3{\pm}18.6\;yr$, all SICU patients: $62.0{\pm}16.8$)(p>0.05). ICU stay was longer(MICU patients: $23.4{\pm}40.8$ day, SICU patients: $30.3{\pm}26.8$ day) than the mean stay of all patients($6.8{\pm}15.5$ day)(p<0.05, respectively). Bacteremia of both ICU patients developed past the average day of ICU stay(all MICU patients: 7.9 day, all SICU patients: 6.0 day, MICU bacteremia: 19th day, SICU bacteremia: 17th day of ICU stay)(p<0.05, respectively).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age, sex, and length of stay of both ICU patients with bacteremia. 3) Use of antibiotics or steroid, use of percutaneous devices and invasive procedures before development of bacteremia were more frequent in SICU patients than in MICU patients(prior antibiotics use: MICU 45%, SICU 63%, p<0.05; steroid use: MICU 14%, SICU 36%, p<0.01; use of percutaneous devices: MICU 19%, SICU 39%, p<0.01; invasive procedures: MICU 19%, SICU 61 %, p<0.01). 4) The prevalence of community acquired infection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ICU patients than in SICU patients(MICU 42%, SICU 9%)(p<0.01), whereas SICU patients showed higher prevalence of ICU-acquired infection than MICU patients(MICU 48%, SICU 78%)(p<0.01). 5)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ausative organisms, primary sites of infection and time interval to bacteremia between both ICUs. 6)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utcome according to pathogenic organisms or primary sites of infection. 7) The mortality rate was higher in patients with bacteremia than without bacteremia(MICU mortality rate: patients with bacteremia 72.5%, patients without bacteremia 36.0%, p<0.01; SICU mortality rate: patients with bacteremia 40.3%, patients without bacteremia 8.5%, p<0.05), and the mortality rate of MICU bacteremia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that of SICU bacteremia(MICU 72.5%, SICU 40.3%)(p<0.01). Conclusion: ICU patients with bacteremia stayed longer before the development of bacteremia, and showed higher mortality than the overall ICU population. The incidence of bacteremia was higher in MICU patients than SICU patients. MICU patients with bacteremia showed higher prevalence of liver diseases and acute respiratory failure, community-acquired bacteremia and greater mortality rate than SICU patients with bacteremia. SICU patients with bacteremia, on the other hand, showed higher prevalence of trauma, prior use of immunosuppressive agents, invasive procedures, and ICU-acquired bacteremia, and lower mortality rate than MICU patients with bacteremia.

연구배경: 균혈증은 중환자실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로 일반 병실에서 보다 그 빈도가 더 높고 중환자의 사망률을 높이는 원인이 되며, 중환자실의 종류에 따라 감염의 선행요인, 원발부위, 원인 균주, 예후에 차이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저자 등은 본원의 내과계와 외과계 중환자들에서 발생한 균혈증의 임상적, 세균학적 양상과 예후 등에 있어서, 양 중환자 군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1990년 2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균혈증이 증명되었던 내과계 중환자 189예와 외과계 중환자 67예를 대상으로 병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임상적, 세균학적 특징과 예후를 비교하였다. 결과: 1) 균혈증이 확인된 내과계 중환자는 전체 내과계 중환자에 비해 평균 연령이 높았으나, 외과계 중환자에서는 균혈증이 있었던 환자와 전체 외과계 중환자 간의 평균 연령의 차이는 없었다. 균혈증이 확인된 중환자는 전체 중환자에 비해 중환자실내 평균 재실 일수가 길었으며, 균혈증은 전체 평균 재실 기간을 초과한 상태에서 발생하였다. 2) 중환자의 균혈증 발생률은 내과계(7.9%)가 외과계(2.4%)보다 많았으나, 균혈증 환자의 평균 연령, 남녀비, 중환자실 재실 기간은 양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3) 외과계 균혈증 중환자는 내과계에 비해 균혈증 전 전신적 항생제나 부신피질 호르몬 사용, 감염과 연관된 경피적 장치, 침습적 조직이 선행되었던 경우가 많았다(전신적 항생제 사용: 내과계 45%, 외과계 63%, p<0.05; 부신피질 호르몬 사용: 내과계 14%, 외과계 36%, p<0.01; 기계장치: 내과계 19%, 외과계 39%, p<0.01; 침습적 조작: 내과계 19%, 외과계 61%, p<0.01). 4) 균혈증 획득 장소의 분포는 내과계의 경우 원외 균혈증 빈도(42%)가 외과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고, 외과계는 중환자실내 획득 균혈증 빈도(78%)가 높았다(p<0.01). 5) 양 중환자실에서 균혈증의 원인 균주, 원발병소는 차이가 없었으며, 중환자실내 획득 균혈증의 경우 균혈증 발생 병일에도 차이가 없었다. 6) 균혈증의 원인 균주나 원발병소에 따른 예후의 차이는 없었다. 7) 균혈증 중환자의 사망률은 내과계(72.5%)가 외과(40.3%)보다 높았으며, 균혈증이 없었던 환자의 사망률에 비해 양 중환자군 모두 균혈증을 동반한 경우 사망률이 높았다(p<0.05). 결론: 균혈증을 가진 중환지는 일반 중환자에 비해 사망률이 더 높았으며, 평균 재실 기간을 초과한 상태에서 감염에 이환되고, 이는 다시 중환자실 재실 기간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내과 및 외과계 중환자에 따른 비교에서 내과계 균혈증 증환자는 선행 요인에 있어 간질환과 급성 호흡부전이 많았고 지역사회 획득 균혈증이 많았으며 사망율이 더 높았던 반면, 외과계 균혈증 중환자는 선행 요인으로 외상, 항생제나 면역억제제 시용 및 침습적 조작의 빈도가 많았으며 중환자질내 획득 균혈증의 빈도가 높았으나 사망률은 내과계보다 낮았다 양 균혈증군에서 균혈증의 원발 병소, 원인 균주 및 이에 따른 사망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