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avor Characteristics of Kakdugi by Radish Cultivars and Seasons

무 품종 및 계절에 따른 깍두기의 향미특성

  • Kim, Mee-Re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 Nam University) ;
  • Jhee, Ok-Hwa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Han Yang University) ;
  • Yoon, Hwa-Mo (Department of Horticulture, Bai Jai University) ;
  • Yang, Cha-Bum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Han Yang University)
  • Published : 1996.08.30

Abstract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akdugi which was prepared with various radish cultivars and harvesting seasons were analyzed during 7-day storage. Average pH of small radish cultivar kakdugi was higher than that of large ones, and total acidity was lower in small ones. Reducing sugar content was the highest in kakdugi of autumn radish. Organic acids such as lactic, succinic and fumaric acid analyzed by GC increased until the third day of fermentation, whereas volatile isothiocyanates analyzed by GC/MS continued to declin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lavor characteristics of large radish kakdugi across seasons, in contrast t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ose of small radish kakdugi except sweet taste and reducing sugar content in which interaction existed between season and cultivar. Score of overall acceptability was higher in small radish than large ones with Dongja showing the highest score of overall acceptability. Overall acceptability of autumn Dongja kakdugi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adish kakdugi odor and sour odor, respectively, but negatively with total acidity, lactic acid content, sweet taste and pungency, respectively.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verall acceptability in spring Dongja kakdugi is expressed as a function of overall acceptability = -0.1115 + 1.2519 savory taste + 1.5159 malic acid -0.0054 total isothiocyanate + ${\varepsilon}$.

무의 품종과 계절별로 깍두기의 품질 중 향미 특성이 일정하게 유지되는지 알아 보고자 깍두기의 향미 성분 분석 및 관능 검사를 수행하였으며 또, 향미 특성치들 간의 품종별 계절별 차이와 상관관계 및 관능 검사의 전체적인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치들을 알아 보았다. 소형무 깍두기는 대형무 깍두기에 비해 숙성 전 기간동안 pH는 약간 높았고 산도는 약간 낮게 유지되었다. 계절별 깍두기의 pH는 봄, 여름, 가을의 순으로 각각 평균 3.85, 3.99, 4.46이었다. 총산도의 증가 경향은 전 품종 모두 봄 및 여름무에 비해 가을무의 증가 정도가 컸으며, 소형무보다 대형무의 총산도 증가가 컸다. 계절별로 깍두기 숙성기간동안의 평균 환원당 함량은 가을무 깍두기의 환원당 함량이 가장 높았다. 비휘발성 유기산의 함량은 숙성됨에 따라 lactic acid는 현저히 증가되었고 succinic acid와 fumaric acid는 발효 중반기까지는 증가되다가 그 이후 다시 감소되었으며 malic acid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계속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DE추출물을 GC/MS로 분석하여 밝혀진 isothiocyanate들은 4-methylthiobutyl, 5-methylthio-pentyl, 4-methylsulfinyl-3-butenyl isothiocyanate 등이었다. 관능검사 결과, 소형무로 담근 깍두기의 전체적인 수용도 점수는 대형무 깍두기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p<0.05). 대형무 깍두기는 향미 특성치들이 계절별로 차이가 있었다. 소형무와 대형무 품종 간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는 깍두기의 특성치들은 lactic acid 함량, 매운맛, 단맛이었다. 계절별로 소형무 품종 간에 또한 소형무 품종별로 계절 간에 환원당 함량과 단맛은 상호 영향이 존재하였다. 품종 및 계절별로 전체적인 수용도 점수가 높은 품종은 동자무이었으며 가을 동자무 깍두기의 전체적인 수용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치는 무김치 냄새와 신냄새이었고 산도, lactic acid 함량, 단맛 및 매운맛과는 음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인 수용도 점수에 영향을 주는 향미 특성치들을 다중 회귀분석한 결과, 봄 동자무 깍두기는 overall acceptability =-0.ll15 + 1.2519 savory taste + 1.5159 malic acid -0.0054 total isothiocyanates + ${\varepsilon}$의 식으로 표시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