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Kimchi Intake on the Composition of Human Large Intestinal Bacteria

김치의 섭취가 인체의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 Lee, Ki-Eun (Department of Food Sciences, Seoul Women's University) ;
  • Choi, Un-Ho (Department of Food Sciences, Seoul Women's University) ;
  • Ji, Geun-Eo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Hallym University)
  • 이기은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과학과) ;
  • 최언호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과학과) ;
  • 지근억 (한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96.10.30

Abstract

We have conducted this study to examine effect of kimchi intake on the composition of human large intestinal bacteria. Two hundred grams of kimchi were administered to 10 healthy young volunteers (20-30 years old) every day for 2 weeks, followed by 2 weeks of non-intake period. The non-intake-intake cycle was repeated for 10 weeks. Except antibiotics and materials which contain live bacteria, subjects were allowed to eat ad libitum. The composition of intestinal microflora (Bacteroides, Bifidobacterium, Escherichia coli, Streptococcus, Lactobacillus, Leuconostoc, Staphylococcus, Clostridium perfringens) was examined a1 the last day of each period. $\beta-Glucosidase$ and $\beta-glucuronidase$ activities, pH and moisture content of the fecal samples were also measured. During the administration of kimchi, the cell counts of Lactobacillus and Leuconostoc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whereas those of other bacteria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The enzyme level of $\beta-glucosidase$ and $\beta-glucuronidase$ decreased during kimchi intake (p<0.05). Results indicate that a portion of lactic acid bacteria present in kimchi can pass human stomach and reside in the large intestinal tract.

김치는 한국인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서 정장 작용이 있다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이를 입증하는 객관적인 자료가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섭취가 인체의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인체 실험대상자는 10명으로 실험기간중의 이들의 식이는 생균제, 항생제, 유산균 발효 제품을 제외한 자유식을 섭취하게 하였다. 실험 기간은 10주로 2주 간격으로 김치 비섭취 및 섭치 기간을 반복했으며 섭취 기간 중에는 매일 200 g의 김치를 섭취하게 하였다. 각 기간별로 분변의 장내 미생물 균총 분포도(Bacteroides, Bifidobacterium, Escherichia coli, Streptococcus, Lactobacillus, Leuconostoc, Staphylococcus, Clostridium perfringens), 변의 pH, 수분 함량 및 $\beta-glucosidase$, $\beta-glucuronidase$ 등의 효소활성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김치의 섭취 기간 중 김치에 존재하는 젖산균인 Lactobacillus와 Leuconostoc의 수가 장내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그 외 조사된 다른 균총수의 변화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장내 유해효소로 알려진 $\beta-glucosidase$$\beta-glucuronidase$의 수준은 김치 섭취시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