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도카인이 흰쥐 피질의 체성감각 유발전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DOCAINE ON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IN RAT VIBRISSA/BARREL CORTEX

  • 최병주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약리학교실) ;
  • 이혜숙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약리학교실) ;
  • 김영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 교실) ;
  • 남순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 교실) ;
  • 김현정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 교실) ;
  • 이만기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Choi, Byung-Ju (Dept. of Dental Pharmacolog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Hye-Sook (Dept. of Dental Pharmacolog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Jin (Dep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Nam, Soon-Heoun (Dep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Jung (Dep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Maan-Gee G (Dept. of Pharmacolog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6.08.31

초록

본 실험은 삼차신경 자극으로 발생되는 체성 감각 유발 전위에 대한 국소마취제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나트륨 통로차단을 통하여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리도카인를 뇌 피질에 국소 투여한 후 삼차신경의 체성 감각유발 전위의 강도및 지연시간을 측정하였다. 케타민으로 마취된 흰쥐의 대측성 구레나룻 자극후 뇌의 체성 감각영역으로부터 기록되는 유발전위를 분석한 결과, 리도카인을 뇌 피질에 국소 투여시 유발전위의 강도 및 지연시간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필드 전위의 형태는 이상성 (양극성 및 음극성) 혹은 삼상성 (양극성, 음극성 및 양극성) 의 파형으로 나타났다. 필드 전위의 발생 부위는 뇌 피질의 중대뇌동맥의 상행지 상방영역이었다. 본 실험에서 나타난 초기 전위변동은 피질판 상층에 존재하는 신경세포의 탈분극 과청에 의하여 생성되고 후기의 전위 변동은 동일 영역의 하층 신경세포에서 과분극 혹은 재분극이 발생한 결과라고 유추된다. 따라서 삼차신경계의 체성 감각 영역에서는 피질 상층및 하층의 과립성 피라미드 세포의 순차적인 활성화에 의하여 기본적인 신경 회로망이 형성되어 있으며 생리적 자극으로 유발되는 필드 전위는 이러한 신경망를 통하여 발생될 것으로 사료된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