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Implications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Overexpression in the High-grade Astrocytomas

악성 성상세포종에서 표피성장인자 수용체 과발현의 임상적 의의

  • Hong Seong Eo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ang Jin Oh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School) ;
  • Lee Hye Kyoung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School) ;
  • Yang Moon Ho (Department of Anatomical Pathology,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School) ;
  • Leem Won (Department of Neurosurgery,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School) ;
  • Cho Kyung Sa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School)
  • 홍성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 강진오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 이혜경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 양문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해부병리학교실) ;
  • 임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 조경삼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6.06.01

Abstract

Purpose : To determine the incidence and prognostic effects of EGFR over-expression in the high-grade astrocytomas. Materials and Methods : With 23 paraffin blocks of the high-grade astrocytomas (7 anaplastic astrocytomas and 16 glioblastoma multiforme), expression of EGFR were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employing polyclonal antibody raised to short cytoplasmic domain of the molecule. Result : Two out of 7 anaplastic astrocytomas and 9 out of 16 glioblastoma multiforme patients showed overexpression of EGFR(p=0.44). Three out of 11 patients of age below 55 and 8 out of 12 patients of age over 54 showed EGFR overexpression(p=0.141). Median survival of the EGFR negative anaplastic astrocytoma patient was 37 months. Median survival of the glioblastoma multiforme Patients were 11 months in EGFR negative group and 7 months in EGFR positive group. But survival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0.17). Conclusion There was a marked trend of increasing overexpression of EGFR in older patients. But survival of the glioblastoma multiforme decreased by the overexpression of the EGFR without significant.

목적 : 악성 성상세포종에서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의 과발현의 빈도와 예후 인자로서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조직학적으로 악성 성상세포종으로 확진되고 방사선 치료를 받은 23명(역형성성상세포종 7예, 다형성 교아세포종 16예)의 파라핀 블록에 antihuman EGFR polyclonal antibody를 이용하여 면역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 :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는 역형성 성상세포종에서는 7예중 2예에서 양성이었고 다형성 교아세포종은 16예중 9예에서 양성으로 양군간의 발현 빈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0.44). 55세 미만의 환자는 11예중 3예에서 양성이었고 55세 이상은 12예중 8예에서 양성이었다(p=0.141).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음성인 역형성 성상세포종 환자의 평균 생존기간(중앙값)은 37개월이었다. 다형성 교아세포종 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은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음성 군은 중앙값 11개월, 양성 군은 중앙값 7개월이었으나 두 군간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17). 결론 : 55세 이상 연령군에서 표피성장인자 수용체의 과발현의 빈도가 높았다. 다형성 교아세포종 환자의 생존율은 표피성장인자 수용체 과발현에 의하여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