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Dietary Soybean Meal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II. On the Apparent Digestibility, Excretion and Body Composition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사료원으로써 대두박의 이용 효과 II. 소화율, 배설 및 체조성 변화

  • 김병기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 연구부) ;
  • 전중균 (강릉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 허형택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 연구부) ;
  • 조재윤 (부경대학교 양식학과)
  • Published : 1996.11.01

Abstract

A feeding experiment for 160 days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dietary soybean meal (SBM) on the apparent digestibility, ammonia excretion and body composition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Seven diets containing $0\~70\%$ SBM were formulated based on iso-nitrogenous and iso-caloric basis of $44\%$ crude protein and approximately 4,200 Kcal/kg of gross energy. To evaluate the nutritional utilization of the SBM diets at the end of 60 and 120-day rearing with test diets, digestion rates of protein and lipid of SBM diets were measured.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above $46\%$ SBM showed higher apparent digestibility for protein, but lower for lipid than did fish fed the control diet in both trials. Protein and fat contents in the carcass were similar for all experimental fish, except for fish fed $58\%$ and $70\%$ SBM which showed lower fat content than the others, but composition of fatty acid and amino acids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SBM levels. Gill and urinary post-prandial ammonia ($NH_3-N$) excretions were measured at 12 and 24 hours after single feeding of the experimental diets. Excretions of $NH_3-N$ measured after 24 hours were almost 1 times higher than those measured after 12 hours. Total excretion fer the 24 hours by fish fed $70\%$ SBM was $15\%$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the control diet. Results of present study may suggest that the rainbow trout which were fed above $34%\;or\;46\%$ of SBM diet showed a decrease gradually in lipid bioavail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사료 단백질원으로써 대두박의 생물학적 이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무지개송어를 160일 동안 사육하면서 사육 후 60일 및 120일째에는 대두박 사료의 소화율, 암모니아의 배설 경향 및 어체의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사료로는 단백질원으로 어분을 $64.5\%$ 사용한 대조구 및 상품 탈지 대두박을 $10\~70\%$까지 등간격으로 늘린 사료를 사용하였으며, 비교를 위하여 상품용 무지개송어 사료를 사용하였다. 실험 사료의 단백질 및 지질 소화율은 대두박 함량이 많을수록 단백질 소화율은 증가하였지만, 지질 소화율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무지개송어의 전어체 및 조직(간 및 근육)의 일반 성분에서 대두박 함량이 많은 공급구일수록 지질 함량이 적었으나 전어체의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단백질의 최종 대사산물인 암모니아($NH_3-N$)의 배설량을 섭이 후 24시간 동안 조사하였더니, 배설은 주로 후반 12시간에 많아 총 배설량의 2/3 이상이나 되었고, 24시간의 총 배설량은 대두박 함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여 대두박함량 $70\%$ 공급구가 $466.8\;mg{\cdot}kg\;body\;wt.^{-1}day^{\-1}$으로 대조구의 $115\%$ 수준이었다. 이상과 같이 대두박 함량이 많은 사료는 단백질의 소화 흡수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고 그보다는 에너지원 중에서 지질의 이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듯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