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tiation of Korean isolates of Entamoeba histolytica from Entamoeba dispar

우리 나라에서 분리한 이질아메바(Entamoeba histoItica)와 동형아메바(Entamoebn dispar)의 감별

  • 최성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풍토병연구소) ;
  • 이미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풍토병연구소,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서울백병원 임상병리과, 연세대하?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독일 베른하르트노흐트 열대의학연구소)
  • Published : 1996.03.01

Abstract

Cysts of Entamoebn histoIMtica are still found from humans in Korea, but notall of the cysts are known as pathogenic. The non-pathogenic strain is regarded as a differenL species, E. nispnr. In this study, Korean isolates of conventional E. histolvticn were subjected for the differentiation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analysis. Human stools were screened by routine microscopic examination, and cyst or trophozoite positive stools were inoculated into Robinson media. The cultivated trophozoites were prepared for DNA extraction, and the DNAs were used for PCR with common primers of Pl gene. The PCR products were divested with 3 restriction enzymes and RFLP was observed. Also anti-sense primers containing the cleavage site of each restriction eWe were designed for differentiation only by PCR. The PCR products of Korean isolates 59,512, YS-6, and YS-27 were spliced by Taq I and Xmnl but not byAccl, and the isolates S1, S3, S11, S15, S16, S17, S20, YS- l7, and YS-44 were spliced by Acc I but not by Taq I and Xmn I. These RFLP pattern correlated well with PCR products by the species specific primers. The findings confirm that the Korean isolates 59,512, YS-6, and YS-27 are E. histolwtico and others are E. dispar. In Korea, most of the asymptomatic cyst carriers are infected by E. dispar, not by E. histolytica. Key words: Entcmoebc histolytica, Entcmoebn dispar Korean isolates,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이 실아메바(Entamoeba histoIytica)와 동형 아메바(Entamoebc dispar. 동형아메바)의 포낭은 형태학적으로 구분이 안되어 종 감별에 관하여 논란이 있어 왔다. 최근에 이 둘이 별종이며 특히 이질아메바는 병원성이고 동형아메바는 비병윈성입이 확인퇴어 그 감별이 중요한 의미를 갖게 피었나 이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의 아메바 분리체를 중합효소 반응과 제한효소 반응을 이용하여 두 종으로 감별하였다. 1994-1995년에 대변을 통강의 방법으로 검색하여 포낭이나 영양형이 발견된 검체를 로빈슨 배지에서 배양하고 배양된 영양형에서 DNA를 분리하였다. PI 유전자 염기서열 중에서 시발페(primer)를 만득어 중합효소 반응으로 482 bp 크기의 산물을 얹고 이를 제한효소(Tuq I, Xmn I, Acc I)로 처리하였다. 또한 Xmn I과 Acc I 제한 효소의 특이 염기서열온 고함하는 시발체를 제작하여 따로 중합효소 반응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13개 분리체 중에서 S9, S12, YS-6, YS-27의 482 bp 산물은 Taq I과 Xmn I 의하여 그 외의 분리체 산물은 Acc I에 의하여 절단되었다. 이 결과는 특이 염기서열 시발체의 중합효소 반응에서 얻은 산물과 일치하였다, 이 결과에 의하여 분리체 S9, S12, YS-6는 대장염 창자에서. YS-27은 간농양 환자에서 분리한 병원성의 이질아메바(E. histolytica)이고 분리체 S1, S3, S11, S15, S16, S17, S20, YS-17, YS-44는 부증상의 포낭배출자에서 얻은 비병원성의 동형아메바(E. nispur)로 구별할 수 있었다. S1은 설사 환자에서 얻은 분리체 이지탄 동형아메바임을 확인하였고 따라서 이 환자의 설사는 다른 원인에 의한 것으로 판단 된다. 이로써 비병원성인 동형아메바가 우리 나라에서도 병원성 이질아메바보다 더 흔하게 존재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기록하며 E. dispar의 우리 말 이름을 동형아메바로 제안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