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face ultrastructures of the third-stage larvae of Gnathostoma hispidum

돼지악구충(Gnuhostoma hispidum) 제3기 유충의 표면 미세구조

  • 손운목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이진하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제주대학교 농과대학 수의학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풍토병연구소)
  • Published : 1996.09.01

Abstract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surface ultrastructures of the third-stage larvae of Gnathostoma hispidun. The early third-stage larvae (EL3) were collected from the viscera of Chinese loaches by the artificial digestion method . The advanced third-stage larvae (AdL3) were recovered from mice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EL3. Both larval worms were fixed with 2.5% glutaraldehyde, dehydrated in graded alcohol. dryad in critical point dryer, and coated with gold. The specimens were observed with a SEM (DS- l30C). On the head bulb of both larval stage, the mouth had a pair of lateral lips of equal size and of half moon shape. Each lip had a couple of labial papillae and a small amphid located between the two papillae. The hooklets on the head bulb had single-pointed tips and curved posteriorly. The cuticular spines of EL3 were larger and more densely distributed in the anterior area (about 1.8 Mm in length) and gradually decreased in size and number posteriorly. The cuticular spines in the anterior area of AdL3 were sharp-pointed and about 4.5 Mm in length, and those in the middle area were about 1.75 Mm. The velvety cuticular folds and dot-like cuticular spines were distributed in the posterior area. A cervical papilla was located between the 7th and 8th transverse striations. A dome-like body papilla was located at the posterior 1/4 of body. An ellipsoidal excretory pore was located between the 17th and 18th striations.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characteristic SEM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may be helpful on the species identification of larval Gncthostomn.

중국산 수입 미꾸리에서 검출한 돼지악구충(Gnnthostoma hispidum)의 early third-stage larva($EL_3$)와 $EL_3$를 마우스에 실험감염시킨 후 4주에 회수한 advanced third-stage larva($AdL_3$)의 표피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미꾸리 및 마우스로부터 획득한 충체들을 0.1 M cacodylate buffer로 몇 차례 씻고 2.5% glutaraldehyde 용액으로 고정하였으며 탈수. 건조. 표면처리 등의 과정을 거친 후 한국 ISI사의 DS-l30C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 였다. 충체의 전단에는 반달 모양의 구순이 구강을 중심으로 좌우에 1쌍 돌출되어 있었으며 각 구 순에는 한 개의 작은 amphid를 중심으로 양쪽에 labial papillae가 한 개씩 존재하였다 Head bulb에 배열되어 있는 모든 소구들은 끝이 날카롭고 후방으로 휘어져 있었으며 갈고리 모양이었다. ELB의 전 체표면에는 가로주름(transverse striation)이 나 있었고 각 주름에는 피극(cuticular spine)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충체의 앞 부위 체표면에는 길이 약 $1.8{\m\textrm{m}}$의 둔단인 피극이. 중간부위와 후반부의 체표면에는 약 0.75Mn 길이의 피극이 배열되어 있었다. AdL3의 앞 부위 체표면에는 길이 약 4.5 pm의 끝이 뽀족한 피극이, 중간 부위에는 약 $1.75{\m\textrm{m}}$ 길이의 피극이 배열되어 있었으며 됫 부위 체표면에는 벨벳형의 체표주름(velvety cuticular folds)과 미세한 피극이 분포하였다. 충체의 정중면 7번과 8번 가로주름 사이에 한 개의 cewicalpapilla가 분포하였고 후방 약 114지점에서 한 개의 bodypapilla가 관찰되었다. 타원형 와 배설공은 17번과 18번 가로주름 사이에서 개구하였다. 이상에서 $EL_3$와 AdL3 간에 성장 발육 에 따른 미세구조의 차이는 인정되나 근본적인 것은 대동소이하다. 그러나 관찰된 특징적인 SEM 소견들이 악구충의 유충 감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