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of the trend of research in geographical education in Korea (1945-1995)

지리교육 반세기의 회고와 전망: 연구업적을 중심으로

  • Published : 1996.06.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trend of research in geographical education since the launching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in 1945 and to suggest the areas and directions for future oriented research in geographical education. 422 articles (including 12 books) were reviewed and analized for this paper. The outputs of research in geographical education contributed in developing and improving the geographical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geography. But to achieve stable and desirable status as a subject in the school curriculum, research in geographical education has to be changed in its target areas and methods. The results and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search in geographical education in diverse areas, especially in the areas of significance, aims and objectives, and psychology of geographical education should be preceded the revision of the school curriclum so that the results could be used as the basis information and evidences in decision making about the curriculum. Second, research in geographical education for affective domain and skill development should be implemented more actively in accordance to the trend of integration centering around the dicipline-inquiry skill and citizenship skill. Mor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circles of geographical education and geography would be one of the ways to satisfy the social needs. Third, the linkage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geography is crucial to the research in geographical education. Considering the sequence in human development research in geographical education for two levels of school should be conducted in more wide school-year span. Fourth, critical and prescriptive research in geographical education focusing on the individual, diciplinary, and social relevancy of the content of geographical education may be recommended. Finally, the outputs of the research in geographical education should be publicized more widely so that the rationale for justification of subject geography and geographical education may be shared with among the researchers, educational administrators, and practioners.

대한지리학회 창립 이후 우리 나라의 초.중등 학교 지리교육 개선에 기여하기 위 하여 산출된 연구업적을 검토함으로써, 기왕의 지리교육 연구의 성과와 미흡한 점을 파악하 고 미래지향적인 지리교육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여 보고자 하였다. 우리 나라의 지리교육 연 구는 그동안 양과 질의 양 측면에서 큰 발전을 이룩하였으며, 특히 여섯번의 교육과정이 새 롭게 개정되는 과정에서 지리교과의 위상을 유지, 발전시키고 현장의 지리교육을 개선하는 데 기여한 바가 매우 크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지리교육이 보다 발전되고 안정된 위상을 정립하기 위한 연구의 방향으로서는 지리교육의 성격, 문제점 및 개선방안 영역과 지리교육 목적.목표, 지리교육 심리영역에 대한 연구 중심, 연구영역 전반에 걸친 세분화와 전문화, 정의적 영역과 기능적 영역 그리고 초.중등의 연계성에 대한 고려, 더욱 증진된 지리학과 지리교육간의 협조관계의 수립을 통한 지리교육 언어개발, 지리교육 내용의 적합성에 대한 비판적 연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개발연구논총 v.4 한국 사회과 교육학의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적 고찰(Ⅰ): 지리교육 분야 강환국;정환영
  2.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교수적 수준의 지리 교육과정 단원 계획과 교수의 전략에 관한 연구 권순덕
  3. 지리학 v.26 no.3 국토지리: 왜 배워야 하나? 권혁재
  4. 신지리교육의 지침 김경성(역)
  5. 지리학연구 v.12 Mental Map을 통한 아동의 공간의식 경향 분석: 대구지역 국민학교 3-6 학년을 대상으로 김만곤
  6. 교육 no.3 Pilot Course의 실제 김연옥
  7. 사회과 지리교육연구 김연옥
  8. 서울교육대학 논문집 v.19 교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과 교육학의 발전에 관한 연구 김용숙
  9. 지리학과 지리교육 v.6 HSGP와 우리 고교지리의 비교연구 김일기
  10.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한국 초·중등학교 지리 교육과정 구성요소의 체계에 관한 기초연구 김희목
  11.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한국근대학교의 지리교육에 관한 연구 남상준
  12. 사회과교육 v.27 국제화시대의 사회과 환경교육 남상준
  13. 교실밖 지리여행 노웅희;박병석
  14. 지리학 v.26 no.3 국토지리: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류우익
  15. 우리의 삶터를 아름답게 류재명
  16.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지리 수업활동 조직화에 관한 연구 류재명
  17. 신지리학 교수론 박노식
  18. 지리학 v.26 no.3 현행 중등 지리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서찬기
  19.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지리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서태열
  20. 지리·환경교육 v.2 no.1 지리교육 연구의 영역설정을 위한 탐색 서태열
  21. 샛별 v.21 미군정기의 중등학교 지리교육 예경희
  22. 지리교육론집 v.19 한국 지리교육연구의 발달 유흥식
  23.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지리과의 환경교육 목표와 내용에 관한 연구 유흥식
  24. 지리교육학강의 이경한(역)
  25. 지리학 v.26 no.3 제6차 교육과정 개정시안의 문제점과 지리교과의 방향 이기석
  26. 사대논총 v.34 교과교육학의 성격과 과제 이돈희
  27. 지리학연구 v.9 지리교육과정 내용선정 기준과 그 전개안 이양우
  28. 경북대 교육대학원 논문집 v.19 지리교육의 연구동향 이중우
  29. 지리학 v.3 HSGP를 통해 본 미국의 지리교육 개혁 이찬
  30. 지리교육의 원리와 사례 이찬;김연옥;권혁재(공역)
  31. 교육과정 및 교과용도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v.2 초·중·고교 지리교육과정의 구성에 관한 연구 이찬;임덕순
  32. 지리과교육 이찬(외5인)
  33. 지리교육학개론 이희연(역)
  34. 교과서에서 배우지 못한 세계지리 이희재(역)
  35. 지리교육론 임덕순
  36. 지리교육원리: 이론과 적용 임덕순
  37. 읽고 떠나는 국토순례 임덕순
  38. 지리학 v.5 개화기의 지리교육 장보웅
  39. 사대논총 한국 사회과교육학 정립의 방향 정세구
  40. 지리학연구 v.25 국민학교 교과서의 지명에 관한 연구 정장호;신동승
  41. 논문집 v.19 일본의 사회과 지리적 분야의 최근 동향 파악 조광준
  42. 사회과교육 v.25 지리교육연구사 조광준
  43. 공주사범대학 논문집(사회과학편) v.19 Romey의 방법에 따른 고등학교 지리교과서 분석에 대한 연구 조창연
  44. 지리학과 지리교육 v.13 국민학교 아동의 공간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축척과 지도화를 중심으로 최낭수
  45.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지리과 사고수업 과정에 관한 연구 최원희
  46. 지리교육론집 v.25 인지론적 접근에 의한 지리교육용 코스웨어의 개발과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최윤희
  47. 지리교육론집 v.19 일본 지리교육연구의 동향: 1945-1981 최진식
  48. 지리학연구 v.21 지리부도 분석을 통한 중 고등학교 지리학습 향상 방안 한균형
  49. 지리학 v.26 no.3 21세기를 준비하는 지리교육의 방향 황재기
  50. Canadian Geographical Education Research in Geographical Education John Walforth
  51.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Geographic Education What Kind of Research for What Kind of Teaching? Towards Research in Geographical Education as a Critical Social Science John Fi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