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fic Effects on Monocular OKN Directional Asymmetry of Unilateral Microinjections of GABA Antagonist into the Mesencephalic Structures in the Chicken

OKN을 유발하는 단축 Mesencephalic 구조에 GABA Antagonist를 미량 주입할 때의 닭의 OKN 방향적 불균형성에 관한 특수효과

  • Published : 1996.01.01

Abstract

The SR 95531, a GABA antagonist was microinjected into either the pretectum nuclei (nucleus Superficialis Synencephali nSS) or the nBOR (nucleus Ectomammilaris nEM) of chickens. Monocular optokinetic nystagmus (01(N) was reorded by the search coil technique before and after unilateral intracerebral drug administration. Unilateral microinjections of SR 95531 into either the nSS or nEM induce a reversible increase of gain in OKN directed by contralateral eye for both directions of stimulation. The administration into the nSS increased directional asymmetry by increasing the T~ component velocity gain more strongly than the N-T component velocity gain. On the other hand, the unilateral administration of the drug into the nEM suppressed the diretional O1(N asymmetry by increasing the N-T component velocity gain more strongly than the T-N component velocity gain. The nSS seems especially involved in monocular OKN in response to a T-N stimulation, while the nEM seems more involved in the OKN response to N-T stimul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rug suppresses GABAergic inhibition at the mesencephalic level. The increase in gain of OKN directed by the ipsilateral eye to microinjeded nuclei could account for the strong interactions existing between these two mesencephalic structures responsible for horizontal OKN.

GABA antagonist인 SR 95531이 닭의 pretectum nuclei (nucleus Superficialis Synencephali nSS) 또는 nBOR (nucleus Ectomammilaris nEM)속에 미량 주입되었다. 단안의 optokinetic nystagmus는 한쪽 뇌의 내부에 약품을 주입하기 전후에 탐색 코일 테크닉에 의해서 기록되었다. 한쪽 nSS 또는 nEM 속에 SR 95531를 미량 주입하면 자극의 양방향에 대하여 반대쪽 눈에 의해서 유도된 단안의 OKN속도 게인이 가역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때 nSS속에 주입하면 N-T 성분의 속도 게인보다 T-N 성분의 속도 게인을 더욱 강하게 증가시킴으로써 방향적 불균형성이 더욱 증가되었다. 한편 nEM 속에 약품을 주입하게 되면 T-N 성분의 속도 게인보다 N-T 성분의 속조 게인이 더욱 강하게 증가함으로써 방향적 불균형성을 제거했다. 이것으로부터 우리는 nSS 특히 N-T 자극에 방응에 단안의 OKN이 관련되어 있고, nEM은 N-T 자극에 대한 OKN 반응에 더욱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그 약품이 중뇌 수준에서 OKN에 관련된 GABAergic 메카니즘의 억제작용을 제거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미량 주입된 핵에 대하여 같은쪽 눈에 의해서 유도된 OKN의 게인의 증가는 수평적 OKN에 관련된 이들 중뇌 구조들 사이에 강한 상호작용이 존재한다는 것으로 설명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