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r-exposure of GaAs Treated with $({NH_4})_2{S_x}$ Solution; the Oxidation Mechanism and the Stability of GaAs surface

$({NH_4})_2{S_x}$ 용액 처리된 GaAs의 대기중 노출;GaAs 표면산화기구 및 안정성

  • 강민구 (연세대학교 세라믹공학과) ;
  • 사승훈 (연세대학교 세라믹공학과) ;
  • 박형호 (연세대학교 세라믹공학과) ;
  • 서경수 (한국전자통신연구소 반도체연구단) ;
  • 오경희 (국립기술품질원) ;
  • 이종람 (포항공과대학 재료금속공학과)
  • Published : 1996.12.01

Abstract

고진공하에서 벽개된 GaAs를 대기중 노출시킨후, 결합상태 및 조성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연구하여 Ga의 우선적 산화경향 및 결합의 붕괴에 기인한 원소상태 Ga 및 As의 생성을 관찰하였다. 대기중 노출시, 초기 Ga/As 비(=0.01)는 Ga의 우선적 산화에 의해 증가하였으며 원소상태 As의 증가와 더불어 일정값(=1.25)으로 유지되었다. 습식세정된 GaAs와 유황처리된 (S-passivated)GaAs를 각각 대기중에 노출시켜, 각각의 표면상태 변화를 비교, 관찰하였다. 유황처리된 GaAs는 습식세정처리만한 GaAs에 비해 산화막 성장이 크게 억제되었고, 이는 (NH4)2Sx 용액 처리로 형성된 Ga-S 및 As-S 겹합의 표면보호 효과에 기인한 것이다. 특히 대기중 노출에 따른 유황처리된 GaAs 표면조성 및 결합상태 변화의 정량적 관찰을 통하여, 유황보호막(S-passivation layer) 및 GaAs 표면과 대기중 산소와의 반응 기구를 규명할 수 있었다. 대기중 노출에 따라, 표면의 Ga-S 및 As-S 결합은 대기중 산소와 반응하여 점차 붕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와 동시에 unpassivated 상태의 GaAs가 산소와 반응하여 Ga-O 결합을 형성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X-선 광전자 분광기를 사용하여 GaAs 표면 조성 및 결합상태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Int. J. Electron. v.52 H.Adachi;H.L.Hartnagel
  2. Thin Solid Films v.89 W.E.Spicer;S.Eglash;I.Lindau;C.Y.Su;P.R.Skeath
  3. J. Appl. Phys. v.50 C.M.Garner;C.Y.Su;W.A.Saperstein;K.G.Jew;C.S.Lee;G.L.Pearson;W.E.Spicer
  4. In 23rd Annual Proceedings of IEEE Reliability Physics K.H.Kretschmer;H.L.Hartnagel
  5. Solid-State Electron. v.31 F.Hasegawa;M.Onomura,;C.Mogi;Y.Nannichi
  6. J. Vac. Sci. Technol. v.B1 F.Bartels;J.Surkamp;H.J.Clemens;W.Monch
  7. J. Vac. Sci. Technol. v.A1 D.J.Frankel;Y.Yukun;R.Avci;ajd G.J.Lapeyre
  8. Physical Review B v.19 P.Pianetta;I.Lindau;C.M.Garner;W.E.Spicer
  9. Physical Review B v.25 C.Y.Su;I.Lindau;P.W.Chye;P.R.S.keath;W.E.Spicer
  10. J. Vac. Sci. Technol. v.21 C.Webb;M.Lichtensteiger
  11. J. Vac. Sci. Technol. v.B6 W.E.Spicer;Z.Liliental-Weber;N.Newman;T.Kendelewieg;R.Cao;C.McCant;P.Mahowald;K.Miyano;I.Lindau
  12. J. Appl. Phys. v.57 J.A.Van Vechten;J.F.Wagner
  13. J. Appl. Phys. v.65 Y.Hirotam;M.Okamura;E.Tamaguchi;T.Hisaki
  14. Appl. Phys. Lett. v.55 C.J.Spindt;W.E.Spicer
  15. J. Appl. Phys. v.54 T.E.Kazior;J.Laagowski;H.C.Gatos
  16. Appl. Phys. Lett. v.64 Z.S.Li;W.Z.Cai;R.Z.Su;G.S.Dong;D.M.Huang;X.M.Ding;X.Y.Hou;X.Wang
  17. Appl. Phys. Lett. v.51 B.J.Sandrof;R.N.Nottenberg;J.C.Bischoff;R.Bhat
  18. Appl. Phys. Lett. v.51 E.Yablonovich;C.J.Sandroff;R.Bhat;T.Gmitter
  19. J. Appl. Phys. v.73 J.L.LEE;D.Kim;S.J.Maeng;H.H.Park;J.Y.Kang;Y.T.Lee
  20. Appl. Phys. Lett. v.58 J.L.LEE;L.Wei;S.Tanigawa;H.Oigawa;Y.Nannichi
  21. 한국재료학회지 v.6 강민구;박형호;서경수;이종람;강동규
  22. Materials Sci. & Eng. B M.G.Kang;S.H.Sa;H.H.Park;K.S.Suh;J.L.Lee
  23. Thin Solid Films M.G.Kang;H.H.Park;K.S.Suh;J.L.Lee
  24. Materials Sci. & Eng. B v.B37 K.S.Suh;J.L.Lee;H.H.Park;C.H.Kim;J.J.Lee;K.S.N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