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임 분류와 합성필터의 변형을 이용한 적은 지연을 갖는 음성 부호화기의 성능

Improving LD-CELP using frame classification and modified synthesis filter

  • 임은희 (한국통신 연구개발본부 교환기술연구소) ;
  • 이주호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및 전자공학과) ;
  • 김형명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및 전자공학과)
  • 발행 : 1996.06.01

초록

중간 주파수 대역(8kbps) 이하에서 적은 지연을 갖는 벡터여기 선형예측 음성 부호화기(LD-CELP)에 대하여 고려한다. 합성필터를 입력 프레임의 종류에 따라 변화시켜 음성 부호화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먼저 프레임을 유성음과 무성음 그리고 개시 프레임으로 분류한다. 유성음과 무성음 프레임에서는 합성필터의 스펙트럼 포락을 음운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변화시킨다. 개시 프레임에서는 합성필터의 성격을 바꾸어주기 위하여 바이어스 필터를 이용한다. 제안된 부호화기는 다른 적은 지연을 갖는 벡터여기 선형예측 음성 부호화기들에 비하여 비슷한 지연시간을 갖으면서 더 나은 음질을 제공하였다.

A low delay code excited linear predictive speech coder(LD-CELP) at bit rates under 8kbps is considered. We try to improve the perfomance of speech coder with frame type dependent modification of synthesis filter. We first classify frames into 3 groups: voiced, unvoiced and onset. For voicedand unvoiced frame, the spectral envelope of the synthesis filter is adapted to the phonetic characteristics. For transition frame from unvoiced to voiced, the synthesis filter which has been interpolated with the bias filter is used. The proposed vocoder produced more clear sound with similar delay level than other pre-existing LD-CELP vocoder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