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CS에 대한 한${\cdot}$일 대학생의 색채기호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color preference of PCC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

  • 발행 : 1996.10.01

초록

한국인의 색채감정에 맞는 효율적인 색채계획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먼저 한국인의 색채감정의 고유성 확인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인국(隣國)인 일본과의 비교를 통한 한국인의 색채 기호의 고유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PCCS 에 대한 한${\cdot}$일 대학생의 색채기호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cdot}$일 양국의 대학생이 가장 기호하는 색은 비비드 블루이고, 가장 혐오하는 색은 그레이쉬 브라운이다. 2. 한국 대학생이 가장 기호하는 색은 퍼프 블루이고, 일본 대학생이 가장 기호하는 색상은 블루이다. 한${\cdot}$일 양국의 대학생이 가장 혐오하는 색상은 옐로우 레드 이다. 3. 한${\cdot}$일 양국의 대학생이 가장 기호하는 톤은 비비드 이고, 가장 혐오하는 톤은 그레이쉬 이다. 4. 한${\cdot}$일간의 색채기호의 상관관계를 비교해 보면, 색상보다는 톤에 있어서의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fhe purpose of lhlS study was to inves,igate ,he color preference of pees among Korean and Japanese Lnrversity students groups. Looking at a color chart contammg (is colored chips arranged sequentlally by hue and tone. the subjects from two countries were asked to choose their five most hlghly preferred colors and five least preferred colors. The data was classifed by hues and tones and then both sexe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comparison of the general orders of preference, and comparison of the selected colors by hues and tones and both sexes. The correlation of color preference in two countries was also studled uSlng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lOn cod ficren 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ed as follows: 1. The most preferred color in two countries was vivid blue, and the least preferred color in two countries was grayish brown. 2. The most prefered hues in each countries were purple blue in Korea and blue in Japan. The least preferred hue in two countries was yellow red. 3. The most preferred tone in two countries was vivid and least preferred tone in two countries was grayish. 4. The correlation of the color preference between two countries was studied usmg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lCient for both hues and tones. I, indicated strong correlation in tones than in hu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