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장신구 교육의 특성화를 위한 연구

A study for characterizing personal ornaments designing education

  • 김병찬 (경기대학교 공예디자인과)
  • 발행 : 1996.10.01

초록

장신구 디자인은 현대인의 생활과 문화, 그리고 관련산업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현재 우리 나라 대학의 공예디자인 교육에서는 금속 공예의 일부분으로 인식되어 독창성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의 미술 대학에서 순수 예술성을 추구하는 일품 공예 위주의 장신구 교육을 시행함으로써 장신구 디자인 교육은 산업 생산과 경영 측면을 이해 할 수 없는 비현실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획일적인 대학 장신구 디자인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을 연구하여 장·단기적인 계획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각 대학별 특성을 살린 다양한 장신구 관련 교과과정을 개발, 시행한다면 교육 개방에 대비한 대학 경쟁력 강화와 대학의 산업 기여도 증진 및 관련 전공자들의 사회 활동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되리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Personal ornaments designing has a great influence on present-day life and culture and allied industries, but the current collges fail to provide its productive and creative programs because it is considered as just a part of metal crafts. Most colleges present programs only for producing items of pure fine art crafts, and therefore fail to present the programs that help the student to understand the related industries and their management. This study seeks to point to the problems of current personal omaments designing education in order to help to find its remedies, and tries to present long-term and short- term plans for them. I belive when the colleges develop their own suitable programs based on these plans, they will strengthen their ability to survive in this privailing open-door compryiyive world, widen their opportunities to contribute to related industries, and help the students to play better roles in the socie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