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search on Kimchi Culture for the Koreans in CIS 1. Dining Habits in Relation to Kimchi

구 소련거주(독립국가연합) 한인들의 김치 이용의 실태에 관한 조사 1. 김치와 식생활

  • Kim, Young-Hee (Dept. of Traditional Food Preparation, Yangsan Junior College) ;
  • Kim, Young-Sook (Dept. of Traditional Food Preparation, Yangsan Junior College) ;
  • Lee, Kyeoung-Im (Dept. of Traditional Food Preparation, Yangsan Junior College) ;
  • Shin, Ae-Sook (Dept. of Traditional Food Preparation, Yangsan Junior College) ;
  • Park, Hoon (Korea Ginseng & Tabacco Res. Institute)
  • 김영희 (양산전문대학 전통조리과) ;
  • 김영숙 (양산전문대학 전통조리과) ;
  • 이경임 (양산전문대학 전통조리과) ;
  • 신애숙 (양산전문대학 전통조리과) ;
  • 박훈 (한국인삼연초연구원)
  • Published : 1996.08.0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dining habits in relation to Kimchi for the Koreans in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CIS), a survey was conducted to 199 Koreans living in Moscow, Sahalin, Uzbekistan, and Kazakstan.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or keep the Korean food lifestyle, and especially the old age group and Koreans in Sahalin showed higher ratio for Korean food lifestyle. In the Kimchi preference and Kimchi consumption, 85.9% of the respondents like Kimchi because Kimchi is our traditional food and its taste is good, and 95% of them consumed Kimchi once or more everyday. In the kinds of Kimchi, 99% of the respondents had experiences in eating or seeing Chinese cabbage Kimchi, 91.5% cucumber Kimchi, 88.4% cabbage Kimchi, 82.4% white water Kimchi, 75.4% sikhae, respectively, while the frequencies of kakdugi, chonggak Kimchi, and leek Kimchi were relatively low. In connection with the utilization of Kimchi, many respondents answered that Kimchi is sometimes used in cooking of Kimchi cchigae or Kimchi bokkum. Most of Russians like Kimchi in spite of the hot taste and it shows the possibility that Kimchi can be spread throughout foreign countries.

구 소련(독립국가연합) 중 비교적 한인이 많이 살고 있는 모스크바, 사할린, 우즈베크스탄, 카자흐스탄 지역의 한인 199명을 대상으로 김치와 식생활에 관한 조사를 실시 한 결과, 식사형태는 조사대상자의 90.5%가 한식 중심의 식사를 하고 있었으며, 지역적으로 볼 때 모스크바가 양식으로의 전환율이 높은 반면 사할린은 거의 대부분이 한식 형태였다. 또한 고연령으로 갈수록 한식 중심의 식사를 하고 있었고 연령이 낮거나 이주 후 세대를 거칠수록 양식으로의 전환율이 높았다. 김치에 대한 기호도는, 응답자의 85.9%가 김치를 좋아 하였으며 좋아하는 이유는 대부분이 우리 고유의 전통음식이라는 자부심과 김치가 맛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김치 섭취횟수는 응답자의 95%가 하루 한끼 이상은 김치를 섭취 하고 있었으며 특히 사할린은 매끼 마다 섭취하는 사람이 많았다(88%). 또 연령과 이주세대에 따른 섭취 횟수의 차이는 나이가 어리고 이주세대를 거칠수록 김치 섭취횟수가 줄어들었다. 과거와 현재의 김치 섭취량의 차이는, 41.7%가 과거 보다 많이 섭취하였고 21.6%는 별 차이가 없었으며, 지역별로는 사할린은 섭취량이 많아진 경우가 많았고 모스크바는 섭취량이 적어진 경우가 더 많아 두 지역이 다른 양상을 보였다. 또 나이가 적고 이주세대를 거칠수록 과거 보다 섭취량이 줄어들어 나이가 적을수록 현지의 음식에 적응하여 섭취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먹어보거나 본 적이 있는 김치로는 배추김치 (99%)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오이김치(91.5%), 양배추김치(띨.4%), 물김치(82.4%), 가자미식해 (75.4%) 등의 순으로 우리나라에서 상용하는 깍두기, 총각김치 , 부추김치 등의 비율이 낮고 양배추김치, 가자미식해 등의 비율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특히 사할린은 다른 지역에 비하여 김치 경험이 다양한 결과를 보여 한국에서의 김치 문화가 많이 남아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또 김치를 이용해 많이 해먹는 음식으로는 주로 김치찌개와 김치볶음 등이었으나 이것도 50%대에 머물고 있어 김치로 다른 음식까지 만들어 먹을 수 있는 만큼의 양적인 여유가 없다는 것을 짐작할 수가 있었다. 김치에 대한 러시아인들의 반응은, '김치를 잘 먹었다'는 응답이 99.5%이고 '전혀 못먹었다'는 사람은 한명도 없었는데 이로써 양식 위주의 서양인에게도 김치가 잘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고 또한 김치 이용 확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전통식품의 과학적 고찰 김상순
  2. 한국식품과학회 심포지움발표논문집 김치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항암성 박건영;최홍식
  3. 한국식품과학회 심포지움발표논문집 김치의 영양생리학적 평가 오영주;황인주;Claus Leitzmann
  4. 농수축신보 김치 절임식품 식품연감
  5. 한국식품과학회 심포지움발표논문집 김치연구의 어제와 오늘 조재선
  6. 안동 풍산김치 러시아 첫 수출 경향신문
  7. 신바람의 한국학 이규태
  8. Food Technology v.46 Food guide pyramid replace the basic 4 circle
  9. 김치 한국인의 생명 최홍식
  10. 한국식문화학회지 v.3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외국운동선수들의 기호도 조사 계승희;윤석인
  11. 한국식문화학회지 v.8 연변 조선족의 자치주 지역 식문화 양상에 관한 연구 장정옥
  12. 러시아 리포트 서정식
  13. 유럽의 푸른 신호등 고승철
  14. 통계학의 이해 이승욱
  15. 소련 한족사 정태수
  16. 스딸린체제의 한인 강제이주 리 블라지미르 표도로비치;김 예브게니 예브게니예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