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Quality Attributes of Korean Native-Bee Honey and Foreign-Bee Honey by K/Na Ratio

K/Na Ratio를 이용한 토종꿀과 양봉꿀의 품질 특성 비교

  • 김은선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 이종욱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Published : 1996.08.01

Abstract

In order to examine the quality attributes of native-bee honey, 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mponents were analys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ion chromatography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analytical results showed that native-bee honey is higher in the contents of crude ash, crude protein and diastase activity than those of foreign-bee honey. The principal mineral components of honey were Ca, Mg, Na, K and Cl, which showed that almost all the mineral components were contained higher in the native-bee honey than the foreign-bee honey samples. When we calculated K/Na ratio, we could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native-bee honey and foreign-bee honey. The K/Na ratio turned out to be more than 10 in 6 samples of native-bee honey, whereas the ratio of foreign-bee honey showed up less than 1.5 in all 3 samples.

토종꿀파 양봉꿀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고 벌꿀에 함유되 어 있는 무기성분 중 K/Na ratio를 이용하여 토종꿀의 판별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벌꿀의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 본 결과, 토종꿀과 양봉꿀의 일반성분 중에서 가장 차이가 두드러진 항목이 회분과 조 단백질이었는데 토종꿀의 함량은 평균 0.31% 및 0.28%, 양봉꿀의 평균 함량은 0.11%및 0.13%로서 토종꿀이 휠씬 높게 나타났다. 벌꿀 중의 proline과 diastase activity는 토종꿀이 평균 13.6mg%, 31.7unit, 양봉꿀은 평균 16.4mg%, 17.0unit로서 proline 함랑은 양봉꿀이 높았으며, diastase activity는 토종꿀이 더 높았다. 무기성분은 토종꿀이 양봉꿀에 비해 월등히 많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이 었는데, 주요 무기성 분은 Ca, Mg, Na, K, Cl 등으로 토종꿀에서는 K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반면 양봉꿀에서는 Cl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 분석하였던 무기성분 중 K와 Na의 조성비를 이용하였더니 토종꿀과 양봉꿀의 특성이 분명하게 구분되었다. 토종꿀의 K/Na ratio는 실험 에 사용하였던 6점 모두 10 이상으로 나타난 반면 양봉꿀은 3점 모두 1.5 이하로 나타나 토종꿀을 판별할 수 있는 하나의 지표로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양봉총람 한국양봉협회
  2. 신제 양봉학 최승윤
  3. 식품공전 보건사회부
  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O.A.C.
  5. 衛生試驗法 圭解 日本藥學會
  6. U.S. Dep. Agric. Tech. Bull. v.1261 Coposition of American honeys White, J. W. Jr.;Riethof, M. L.;Subers, M. H.;Kushnir, I.
  7. Kor. J. Food Sci. Technol. v.20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honey Chang, H. G.;Han, M. K.;Kim, J. G.
  8. 한국농화학회지 v.34 벌꿀의 밀원별 품질관련 성분의 비교연구 이영근;민병욱;임선욱
  9. J. Assoc. Off. Anal. Chem. v.52 Moisture in honey. Review of chemical and physical methods White, J. W. Jr.
  10. J. Agri. Food Chem. v.19 Manson, B. S.;Slover, H. T.
  11. 한국영양식량학회지 v.20 강원도산 잡화벌꿀의 유기산 및 지방산 특성에 관한 연구 김복남;김택제;최홍석
  12. Analyst v.86 An examination of the occurrence of honeydew in honey Kirkwood, K. C.
  13. J. Apic. Res. v.23 The use of honey clarifying apple juice Lee, C. Y.;Kime, R. W.
  14. Am. Bee J. v.107 Measuring honey quality-A rational approach White, J. W. Jr.
  15. Mitt. Geb. Lebensmittelunters. Hyg. v.68 Eine einfach and Rasche method zur Bestimmung der α-glucosidase in honey Siegenthaler, U.
  16. Recomended European Regional Standard for Honey v.50 FAO/WJP Codex Alimentarius Commision
  17. J. Apic. Res. v.17 Proline in honey-An osmoregulatory hypothesis Davies, A. M. C.
  18. J. Apic. Res. v.14 Amino acids analysis of honeys from eleven countries Davies, A. M. C.
  19. Shokuhin Soga Kenkyusho Kenkyu Hokoku v.33 The mineral composition of honey Hase, S.;Aid, Y.;Kawamura, U. U.
  20. 한국식품과학회지 v.16 한국산 꿀의 품질 특성 정원철;김만욱;송기준;최언호
  21. Arch. Environ. Health v.30 Elemental analysis of honey as an indicator of pollution Tong, S. S. C.;Morse, R. A.;Basche, C. A.;Lisk, D. J.
  22. Advances in Food Research v.24 Honey Jonathan, W.;White, J. W.
  23. Pchelovodstve;Chem. Abstr. v.37;61 Pchelovodstve Makarochkin, B. A.;Udenich, D. M.
  24. Bee World v.58 Sodium potassium ratio in honey and in high fructose corn syrup White, J. W. J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