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Crab Shell on Shelf-life Enhancement of Kimchi

게껍질의 김치보존성 향상효과

  • 김순동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과) ;
  • 김미향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과) ;
  • 김일두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6.12.01

Abstract

To enhance the shelf-life and quality of baechu kimchi, the effects of CSP(crab shell powder) addition to kimchi was investigated. Overall qualities were deteriorated by fish odor, chewiness of particles, sharp pH increase at the early fermentation stage;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kimchi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with kimchi containing 1, 3, 5% CSPB for salted baech weight at $10^{\circ}C$ for 300ays. Quality of kimchi was evalutated by the measurement of pH, acidity, colour L, a, and b value, the number of microbe and lactic acid bacteria, texture. Ten highly trained panelists were involved in the sensory evaluation. During the entire fermentation periods, pH, hardness, colour L, a and b value,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of kimchi with CSPB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but acidity was lower. Sensory quality showed that sour taste of control at 15-day fermentation was already strong. However, sour taste, crispness taste, and overall taste of kimchi with CSPB untill 20-day fermentation were good. Especially, overall taste of kimchi containing 3% CSPB at 30-day fermentation was good, but that of kimchi containing 5% showed fish odor from the early periods of fermentation.

게껍질 분말(CSP: crab shell powder)이 배추김치의 보존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CSP를 그대로 김치 양념과 혼합하여 담근 경우는 비린맛과 입자가 씹히는 등으로 종합적인 품질을 떨어뜨렸으며, 숙성 초기에 pH가 급상승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CSP를 부직포주머니 (CSPB: crab shell powder in bag)에 넣어 보완실험을 하였다. CSPB는 담금용기 바닥에 위치시켰으며 첨가비율은 절임배추량에 대하여 1, 3, 5%로 하여, $10^{\circ}C에서$ 30일간 숙성시키면서 pH, 산도, 색상(L, a, b),총 균수와 젖산균수, 텍스쳐, 관능검사를 행하였다. 그 결과 숙성 전기간을 통하여 CSPB를 넣은 김치에서 pH가 높게 유지되었으며, 대조군은 숙성 15일에 pH가 4.0이하로 떨어졌으나 CSPB를 넣은 것은 숙성 20일에도 pH가 4.0 이상으로 유지되었고, 산도도 패조군에 비하여 낮게 유지되었다. 경도 역시 CSPB를 넣은 김치에서 높게 유지되었으며 , 1%<3%<5% 순으로 CSP 첨가량이 높을수록 높게 유지되었고, L, a, b값 및 젖산균수도 첨가한 경우가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대조군은 숙성 20일에 강한 신맛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CSPB를 넣은 김치는 숙성 20일에도 신맛은 보통 수준, 아삭아삭한 맛은 보통 이상, 종합적인 맛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CSP의 적정 첨가율은 3% 수준으로 이 경우 숙성 30일에도 나쁘지 않은 맛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5%를 첨가한 경우는 담금 초기부터 젓갈을 많이 넣은 듯한 비린맛이 강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CSPB의 첨가는 김치의 젖산발효는 무첨가 경우보다 더욱 활발하면서 신맛을 줄여 종합적인 품질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한 반면, 솔잎즙 첨가구에서는 숙성 5~9일에 최고 수준에 도달한 뒤 서서히 감소하거나 일정 수준을 유지 하였다. A군과는 달리 B군의 솔잎즙 첨가구의 젖산균수는 숙성 초기부터 증가하여 숙성 7일에 최고 수준에 도달한 후 서서히 감소하였다. 숙성 온도와 관계없이 솔잎즙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총 균수와 젖산균수는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들은 솔잎즙이 pH의 저하를 지연시키고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함으로써 김치의 발효숙성을 지연시키는 효과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경관급식 환자들에 대해 경관급식기간을 고려하고, 식이처방 및 유동식의 종류에 적합한 튜브를 선택해야하며, 적절한 투여용량을 결정하는 등 투여방법과 투여경로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경관급식 초기단계에는 질병으로 인한 체내 신진대사의 증가나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 또는 구토나 설사 등의 부적응 등으로 적절한 영양섭취가 어려운 상태이므로 영양판정을 통하여 영양소 요구량을 계획하여 유동식을 보급함으로서 부작용은 줄이며 적절한 영양을 공급하여 영양 결핍에 대처하여야 한다.덕은 16종(種), 재배(栽培)더덕은 18종(種)이었고, 재배지(栽培地)에서 야생(野生) 더덕은 14종(種), 재배(栽培)더덕은 20(種)이었다. 9. Trans-2-hexanol은 야생(野生)더덕의 자생지(自生地) 재배(栽培)에서 피이크 면적(面積) 당(當) 50.3%, 재배지(栽培地)에서 피이크 면적(面積) 당(當) 43.3%를 보였으며 amylalcohol, furfuryl acetate, 2-methoxy-4-vinyl phenol(MVP)는 재배(栽培)더덕에서만 확인(確認)되었다.는 KI, BMI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p<0.01), HCL-C은 비체중, BMI, LBM, TBM와 유의적인 음의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식품과학회지 v.27 소포장 김치의 포장방법별 품질특성 변화 홍석인;박진숙;박노현
  2. 농수산물저장유통학회지 v.2 저장온도 및 포장재료에 따른 절단배추 김치의 품질변화 및 Shelf-life 최기찬;김미연;정신교
  3.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5 저장용기 및 저장온도에 따른 김치의 품질변화 송주은;김명선;한재숙
  4. 한국식품과학회지 v.27 김치의 선도유지를 위한 천연보존제의 탐색 문광덕;변정아;김석중;한대석
  5. 한국영양식량학회지 v.24 소금절임시 키토산첨가가 김치보존성에 미치는 영향 노홍균;박인경;김순동
  6. 생물산업 v.8 김치산업의 연구개발 현황과 전망 김순동
  7. 한국식품과학회지 v.26 포장재질이 김치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윤리;홍석인;박노현;정태연
  8. 한국영양식량학회지 v.23 갓의 첨가가 김치의 품질과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혜진;한영실
  9.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4 김치의 숙도조절 김미정;김순동
  10. 식품성분표(제4개정판) 농촌진흥청 농촌영양개선연수원
  11. Food processing waste management Green, J. H.;Kramer, A.
  12. 保存中の酸度上昇む抑制した醱酵乳及そひの製造法. JP 平3-29853 倉木後美
  13. J. Food Sci. v.44 Inhibition of polygalacturonase softening of cucumber pickles by calcium chloride Buescher, R. W.;Hudson, J. M.;Adams, J. R.
  14. J. Food Sci. v.52 Effect of sodium chloride concentration of firmness retention of cucumbers fermented and stored with calcium chloride Fieming, H.P.;Mcfeeters, R. F.;Thompson. R. L.
  15. J. Food Sci. v.48 Influence of calcium testment on Golden delicious apple quality Drake, S. R.;Spayd, S. E.
  16. Natural chelating polymers Muzzarelli, R. A. A.
  17. Chitin Muzzarelli, R. A.. A.
  18. Food Technol. v.38 Use of chitinous polymer in food a challenge for food research and development Knorr, D.
  19. Macromolecules v.15 Stress and relaxation of a polyelectrolytes network as affected by ionic strength Klenzie-Sterzer, C. A.;Rodeiguez-Sandhez, D.;Rha, C.
  20. Biotecnol. Letter v.3 Formation of spherical chitosan biocatalysts by ionotropic gelation Vorlop, K. D.;Klein, J.
  21. Trend Biotecnol. v.5 Biosorbents for metal recovery Volsky, B.
  22. J. Food Sci. v.53 Effect of chitosan on yield and compositional data of carrot and apple juice Imeri, A. G.;Knorr, D.
  23. J. Food Sci. v.47 Futional properties of chitin and chitosan Knorr, D.
  24. Rxp. Mycol. v.8 Characterization of the smallest chitosan oligomer that is maximally antifungal to Fusarium salani and elicits pisatin formation in Pisum sativum Kendra, D. F.;Hadwiger, L. A.
  25. 日添協會報 v.7 天然保存料シリ-ス, キトサソ 內田泰
  26. Macromol. Chem. v.183 Mechanical properties of chitosan film, Effect of solvent acid Klenzie-sterzer, C. A.;Rodriguez-Sandhez, D.;Rha, C.
  27. 한국식문화학회지 v.9 제조조건이 다른 새우껍질 chitosan의 물리화학적 성질 및 깍두기의 보존성에 미치는 영향 김광옥;강현전
  28.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v.9 무의 염장과정중 조직감의 변화에 대한 예열처리 및 chitosan 첨가효과 이희섭;이귀주
  29. 특허공고 91~6614 김치의 보존기간 연장방법 이진섭
  30. 농수산 통계연감 1994년 일반해면어업 지방별, 어종별, 판매형태별 생산량
  31. 부산수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저분자 chitosan의 항균성 및 식품보존효과에 관한 연구 조학래
  32. 한국식품과학학회지 v.27 저분자 chitosan이 배추김치 모델시스템의 보존성에 미치는 영향 김광옥;문영아;전동원
  33. Offical methods of analysis(15th ed.) A.O.A.C.
  34. Laboratory methods in food and dairy micro-biology Harrigan, W. F.;McCance, M. E.
  35. 生活の色彩學 加藤雪枝;橋本令子;寺田純子;高本節子中川早苗;大野庸子
  36. Sensory evaluation partices(2nd ed.) Herbert, A.:Joel, L. S.
  37. SAS/STAT guide for personal computers(Version 6ed.) SAS
  38. 한국식문화학회지 v.3 보존료, 젓갈, $CaCl_2$ 첨가가 김치 발효중 배추잎의 조직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 황인주;윤의정;황성연;이철호
  39. 한국영양식량학회지 v.18 김치용 천연 pH조정제 연구 장경숙
  40. 한국영양식량학회지 v.21 김치액의 생상에 의한 배추김치의 품질평가 이명희;이명숙;노홍균;김순동
  41. 한국영양식량학회지 v.23 김치의 숙성중 색상변화에 관한 연구 김미경;하귀현;김미정;김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