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Food Additives on the Shelf-life of Low-salted Myungran-jeot

식품첨가제에 의한 저염 명란젓의 보존 효과

  • 김상무 (강릉대학교 해양생명공학부)
  • Published : 1996.12.01

Abstract

The biggest Problem of low-salted Jeot-gal is the reduction of its shelf-life. Chitosan, glucono $\delta-lactone, $ and sykeeper were added to extend the shelf-life of low-salted Myungran-jeot, and various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during fermentation at $10^{\circ}C.$ Sykeeper inhibited the increase in pH, and production of lactic acid, VBN, TMA, TBA, and the microbial growth, whereas enhanced the production of amino-N. But, chitosan and glucono $\delta-lactone$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The estimated shelf-life periods of low-salted Myngran-jeot fermented at $10^{\circ}C$ for control, chitosan, glucono $\delta-lactone, $ and sykeeper were about 14, 12, 16, and 19 days, respectively.

저염 명란젓의 shelf-life를 연장하기 위하여 최근 식품 보존제로 주목을 받고있는 chitosan, glucono $\delta-lactone$ 및 sykeeper를 첨가하여 명란젓을 제조한 다음 여러가지 화학적 및 미생물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숙성 중 pH는 숙성 초기에 감소하였다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sykeeper 첨가는 pH 증가를 억제하였다. 젖산생성은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sykeeper 첨가는 젖산 생성을 저해하였다. 아미노태 질소는 숙성 5일에 일정수준유지 또는 약간 감소하였다가 그 후 증가하여 숙성 15일에 최고값을 나타낸 후 다시 감소하였으며 sykeeper첨가 명란젓이 가장 높은 생성량을 나타내었다. VBN 및 TMA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Sykeeper 첨가 명란젓의 생성량이 제일 낮았으며 그 다음이 glucono $\delta-lactone이었다.$ Sykeeper 는 숙성 초기 단계의 TBA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또한 미생물의 성장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Glucono $\delta-lactone$ 및 Sykeeper 첨가는 저염명란젓의 shelf-life를 각각 2일 및 5일 정도 연장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Makromol. Chem. v.183 Mechanical properties of chitosan film : Effects of solvent acid Kienzle-Sterzer, C. A.;Rodriguez-Sanchez, D.;Rha, C.
  2. J. Food Sci. v.40 Reduction of suspended solids in vegetable canning waste effluents by coagulation with chitosan Bough, W. A.
  3. Ph.D. thesis, Louisiana State University Application of crawfish chitosan as a coagulant in recovery of organic compound from sea-food processing wastes No, H. K.
  4. Food Technol. v.45 Recovery and utilization of chitin and chitosan in food processing waste management Knor, D.
  5. Appl. Environ. Microbiol. v.35 Immobilization of Aspergillus betaglucosindase on chitosan Bissett, F.;Sternberg, D.
  6. J. Food Sci. v.47 Functional properties of chitin and chitosan Knorr, D.
  7. Food Tech. v.38 Use of chitinous polymers in food Knorr, D.
  8. J. Food Sci. v.57 Chitosan enhances control of enzymatic browning in apple and pear juice by filtration Sapers, G. M.
  9. U.S. Patent No. 4, 859, 488 Liquid food curing constipation : Polydextrose and oligosaccharide Kan, T.;Kobayashi, Y.;Sonoike, Y.;Terashima, T.
  10. 한국영양식량학회지 v.21 새우껍질에서 추출한 키토산의 항암 및 면역활성 유병호
  11. Agric. Biol. Chem. v.53 Effects of chitosan, pectic acid, lysozyme, and chitinase on the growth of several phytopathogens Hirano, S.;Nagao, N.
  12. キトサンの抗菌性 プ-トケミカル 內田泰;キチン
  13. J. Food Protec. v.55 Inhibition and inactivation of five species of foodborne pathogens by chitosan Wang, G.
  14. Food Biotech. v.5 Antimicrobial effect of water-soluble chitosans with high hydrostatic pressure Papineau, A. M.;Hoover, D. G.;Knorr, D.;Farkas, D. F.
  15. J. Dairy Sci. v.43 Coagulation of milk for cheese making by ester hydrolysis Deane, D. D.;Hammond, E. G.
  16. J. Dairy Sci. v.50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butter culture flavor concentrates Lindsay, R. C.;Day, E. A.;Sather, L. A.
  17. J. Biol. Chem. v.191 Spectrophotometric analysis of amino acids and peptides with their copper salt Spies, T. R.;Chamber, D. C.
  18. J. Sci. Food Agric. v.10 Determination of trimethylamine oxide in fish muscle Bystedt, J.;Swenne, L.;Aas, H. W.
  19. J. Am. Oil Chem. Soc. v.39 The chemistry of the 2-thiobarbituric acid test for the determination of oxidative rancidity in foods. Ⅰ. Some important side reactants Tarladgis, B. G.;Pearson, A. M.;Dugan, L. R.
  20. 한국수산학회지 v.27 강릉지방의 오징어 식해 개발에 관한 연구. 1. 숙성온도 및 기간에 따른 품질 변화 김상무;정인학;조영제
  21.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statistics(2nd ed.) Steel, R. G. D.;Torrie, J. H.
  22. 수산발효식품의 품질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오상룡
  23. 고려대 석사학위 논문 가자미 식해에 관한 연구 조태숙
  24. 한국식품과학회지 v.24 구연산 전처리에 의한 개량조개의 저염젓갈가공 유병진;장미화
  25. 한국수산학회지 v.16 저염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1) 저염 정어리젓의 가공조건 이응호;차용준;이종수
  26. 한국식품과학회지 v.24 함경도 지방의 전통 가자미 식해의 소금 첨가 수준에 따른 숙성중 맛성분의 변화에 관한 연구 정해숙;이수학;우강융
  27. 한국수산학회지 v.26 오징어 조미젓갈의 품질유지기한에 관한 연구 김동수;김영명;구재근;이영철;도정룡
  28. 한국수산학회지 v.16 저식염 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4. 저염 멸치젓의 가공 차용준;박향순;조순영;이응호
  29. 부산수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저식염 멸치젓과 조기젓 제조조건 및 제품의 풍미에 관한 연구 차용준
  30. Fd. Tech. v.37 Reducing the sodium content of processed meat Terrell, R. N.
  31. 한국수산학회지 v.27 강릉지방의 오징어 식해 개발에 관한 연구. 2. 숙성온도 및 기간에 따른 화학적 변화, 미생물 변화 및 단백질 분해 효소의 정제 김상무;조영제;이근태
  32. Phytopathol. Z. v.111 Effect of chitosan, chitin, and some amonosugars on growth of various soilborne phytophthogenic fungi Stossel, P.;Leuda, J. L.
  33. Phytophthol. v.71 Molecular communication in host-parasite interactions : Hexosamine polymers(chitosan) as regulator compounds in racespecific and other interactions Hadwiger, L. A.;Loschke, D. C.
  34. 수산화학 김우준
  35. 한국특허 91-6614 김치의 보존기간 연장 방법 이진섭
  36.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v.9 제조조건이 다른 새우껍질 chitosan의 물리 · 화학적 성질 및 깍두기의 보존성에 미치는 영향 김광옥;강현전
  37. 부산수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저분자 chitosan의 항균성 및 식품보존효과에 관한 연구 조학래
  38. 한국식품과학회지 v.27 저분자 chitosan이 배추김치 모델시스템의 보존성에 미치는 영향 김광옥;문형아;전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