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종자의 비중차이가 유묘생장 및 유관속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ain Specific Gravity on Seedling Growth and Vascular Bundle Development of Two Rice Cultivars

  • Chae, Je-Cheon (College of Agriculture, Dankook University) ;
  • Lee, Dong-Jin (National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Institute, RDA)
  • 발행 : 1996.02.01

초록

본 실험은 비중선으로 종자밀도를 5등급으로 세분한 뒤 각 등급별 유묘의 유관속 발달 및 생육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인디카형인 IR58과 자포니카형인 운봉7호를 공시하여 수해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자의 밀도가 1.00이하에서 1.20이상으로 높아질수록 유묘의 엽신과 엽초에 발달된 유관속수와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IR58은 운봉7호보다 유관속수와 크기가 양호하게 발달하였다. 2. 유묘의 생육특성인 초장, 엽수, 근수 및 근장은 종자의 밀도가 1.20이상까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3. 엽신과 엽초에 발달된 유관속수는 건물중과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제4, 5엽신의 대유관속수는 엽신폭과 유의한 정상관을 보였다. 4. 종자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유묘의 유관속 발육을 좋게 하며 양수분의 원활한 이동으로 인하여 생육이 양호하게 건묘육성에 바람직하였다.

High density (HD) grains is associated with seedling vigor.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of different grain densities and vascular bundle(VB) development and seedling growth. IR58 (indica type) and Unbong 7 (japonica type)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HD grains had more and bigger VB in the leaf blade and sheath than poor density grain at seedling stage. IR58 had more large VB at the leaf compared with Unbong 7. Higher development of VB in seedling of HD grains can increase transport of assimilate and growth rate. Plant height, leaf number, root growth and dry weight increased with increasing grain density from poor to high. The total area of large VB in the leaf blade and sheath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dry weight. Higher number and larger area of VB and dry weight can be obtained by using HD grains and these initial advantages can contribute to high yield potentia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