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무경운 재배시 재배양식에 따른 생육 및 수량

Rice Growth and Yield at Different Cultural Methods under No-tillage Condition

  • 발행 : 1996.08.01

초록

획기적인 벼 생산비 절감 기술 확립을 위해1993~1995년 호남농업시험장인 전북통(미사질양토)에서 동진벼를 공시하고 무경운 기계이앙, 무경운 무논골뿌림, 무경운 표면조파, 무경운 산파, 경운 기계이앙 등 5가지로 하여 재배 양식간의 생육 및 수량성의 차이를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 경도는 무경운에서 높았고(토심 10cm의 경도 : 무경운 1.6kg/$cm^2$, 경운 1.0kg/$cm^2$), 토괴 심도가 깊을수록 경운과의 차이가 커지는 경향이었으며, 토양 물리성중 가비중은 무경운이 경운보다 높았으며 공극률은 경운에서 58.5~55.9로 무경운의 52.1~50.5보다 높았다. 2. 무경운 직파재배시 m$^2$당 입모수는 l13~133개였으며 이앙재배시 결주율은 경운 이앙 3%, 무경운 이앙 4.5%로 무경운 이앙에서 높았고, 유효경 비율은 경운 이앙이 높았으며, 무경운 재배 양식간에는 이앙>무논골뿌림>표면조파>산파의 순으로 높았다. 3. 잡초 발생량은 무경운에서 많았으며 경운에서는 피, 올양개, 방동사니가 우점하였고 무경운에서는 나도겨풀, 사마귀풀, 둑새풀이 우점하였 다. 4. 뿌리량은 경운 이앙에서 가장 많았고, 무경운재배 양식간에는 이앙>무논골뿌림>표면조파>산파의 순으로 많았으며, 뿌리 분포는 무경운에서 경운보다 표층 분포가 많았다. 특히 표면에 파종한 산파와 표면조파에서 표층 분포가많았다. 5. 하위 절간의 분포 비율은 도복이 심했던 무경운 표면조파와 산파에서 낮았고, 무경운 무논골뿌림, 무경운 이앙은 경운 이앙과 비슷하였으며, 중심고는 이앙재배에 비해 직파재배에서낮았고 줄기 매몰 심도는 경운(3.1cm)에 비해 무경운에서 낮았는데 무경운 표면조파, 산파에서는 0.6~0.7cm로 현저히 낮았다. 6. 도장 도복은 무경운재배시 산파>표면조파>무논골뿌림>이앙재배 순으로 높게 발생했으며, 특히 무경운 표면조파와 산파에서 뿌리도복이 심하게 발생되었다. 7. m$^2$당 수수는 경운 이아이 가장 많았고 무경운산파가 가장 적었으며, 등숙 비율은 포장도복이 심했던 무경운 표면조파, 산파에서 가장 낮았다. 벼 수량성은 경운, 무경운 이앙은 서로 비슷하였고 무경운 무논골뿌림은 경운 이앙의 약 93%였으며, 무경운 표면조파, 산파는 포장도복으로 크게 낮아 경운 이질의 87~81%정도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growth and yield of rice under five different cultural methods, machine transplanting(MTNT), puddled drill seeding (PDSNT), drill seeding on soil surface (DSNT) , broadcasting on soil surface (BSNT) under no-tillage paddy condition and conventional machine transplanting(MTT) in Jeonbuk series(siltyloam soil) from 1993 to 1995. Soil hardness was higher in no-tillage soil and increased with highly difference between tillaged and no-tillage soil with deeper soil depth. Bulk density was heavier in no-tillage soil and porosity was higher in tilled soil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rate of effective tiller was higher in MTT, following MTNT, PDSNT, DSNT and BSNT. Weed occurrence was more serious in no-tillage soil, than that of tillaged soil. The rate of lower internode length was lower in DSNT and BSNT and was similar with MTT in PDSNT and MTNT. Height of center gravity in terms of lodging tolerance was lower in direct seeding than in machine transplanting. Depth of buried culm was shorter in no-tillage soil, especially in DSNT and BSNT. Total amount of root was higher in MTT, following MTNT, PDSNT, BSNT and BSNT and the distribution rate of root in shallower soil layer was higher in no-tillage soil, especially in BSNT and DSNT. Field lodging occured highly in BSNT, following DSNA, PDSNT and MTNT with high lodging scale in DSNT and BSNT. Panicle number per unit land square meter was the highest in MTT and the least in BSNT. Ripened grain ratio was low in BSNT and DSNT due to heavy lodging. Yield of milled rice was 93% in PDSNT, 87% in DSNT, 81% in BSNT and 96% in MTNT, compared with 534kg /10a in MT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