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 육묘시 근권의 공간 제한이 근계의 형태와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ace Limitation of Rhizosphere on Morphology and Development of Root System in Tobacco Seedlings

  • 이상각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식량자원학과) ;
  • 심상인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식량자원학과) ;
  • 강병화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식량자원학과)
  • 발행 : 1996.08.01

초록

본 실험은 육묘기간동안 근권의 공간제한이 뿌리 및 지상부의 생장에 미t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가로 세로가 각각 5cm이고 깊이가 5, 15, 30cm인 포트를 이용하여 포트의 용적을 조절하였다. 뿌리의 발달과 지상부의 생장은 가식 후의 담배육묘기간 동안 근계의 형태발달 및 지하부와 지상부의 생장을 조사하여 포트 용적에 따른 근계의 발달 양상을 알아보고 우량묘 생산에 있어서 합리적인 포트 규격과 이식 적기를 수립하고자 실시하였다. 1. 근권의 공간 제한은 환경반응에 따른 뿌리생장을 억제하여 지상부의 주요 생육형질을 감소시켰다 포트 깊이에 따른 용적제한은 관부에서 새로운 뿌리형성을 유도하였다. 2. 뿌리수의 발달은 포트 깊이가 얕을수록 많았고, 상대증식률도 컸다. 전체 뿌리길이와 평균 간장률은 포트 깊이가 깊을수록 길었다. 3. 각 순위별 뿌리수는 포트깊이가 깊을수록 1차 순위와 2차 순위 뿌리수가 많았고 얕을수록 3차 순위의 뿌리수가 많았다. 뿌리의 구조는 가식 후 20일에는 깊은 포트에서 넓은 뿌리 구조를 보였고 가식 후 25일에는 얕은 포트에서 넓은 뿌리 구조를 보여 공간제한에 따른 뿌리 형태와 구조가 변화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cquire the basic information of root growth under different pot size, imposing different space limitation on rhizosphere. Different size of pots that had same surface area but different depth, 5cm(Iength)$\times$5cm(width)$\times$30, 15, 5cm(depth), were used during the seedling stage of tobacco plant. Space limitation on rhizosphere affected not only the aerial growth, stem height, leaf area and shoot dry weight, but also root growth and root architecture. Aerial growth was highly related to growth of underground part, so space limitation on rhizosphere decreased aerial growth. Limitation on pot volume by reducing pot depth induced new rooting on crown. Root number and relative multiplication rate were higher in small pot that had 5cm depth than large pot, but total root length and mean extension rate showed reverse patterns. Root numbers of 1st order and 2nd order were increased as pot depth was increased, but the root number of 3rd order was increased in small pot. Root system of seedling grown in large pot distributed more horizontally than that in small pot at 20 days after temporary planting (DAT), but the root architecture of seedling was reversed at 25 DAT.

키워드